기억하는 사물들 2016 – 기억과 인권센터 (구 해군사관학교)

플로렌시아 그레에코 (기자)

리뷰

매우 중요했던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장소 선정에 있었던 것 같다. 그 특별한 장소는 관객의 경험에 (적어도 아르헨티나 관객에게는) 깊은 의의와 진한 감정을 부여했다. 또한 ‘아이디어’ – 이어폰을 꽂고 장소를 둘러본다는 – 는 관객에게 더욱 큰 집중력과 특별한 친밀감을 주는 역할을 했다. 또한 각 장소는 빼어난 ‘아름다움’의 가치에 수렴했다. : 정밀히 가공된 것, 세련되면서 현대적인 것, 그 이면에 생각이 깃들어 있는 것. 하지만 동시에 개개인의 관객들이 그 상황을 해석할 수 있게끔 여지를 주었다.

개인적으로 아쉬웠던 부분은 각 도달 장소와 QR 코드를 통해 보여지던 사진들과 비디오들간의 상호작용이었다. 하지만 기술적인 부분 (즉, 이미지를 불러오는 시간이 다소 느리다던가)을 말하는 게 아니다. “의미” 적인 부분에서 상호작용이 덜했다고 생각한다. 각 제시한 이미지들이 해당 장소에 대한 관객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끝나버리는 느낌이었다.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가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았다. 반면에 사물들(Object)의 경우, 시청각 자료들보다 더욱 풍부한 표현을 지녔던 것 같다. 배우들에 관해서도 비슷한 인상이 남았다. 2번 내지는 3번의 그룹 공연(Intervention)에서, 그들은 ‘긴장’이라는 첫 느낌을 조성했고 이후에는 그 긴장감이 그대로 와해되었다. 마치 어떤 거리감이 있는 듯했다. 공연과 그 공간이 허용하는 “폭발성”이 부재한 느낌이었다. (여기서 조명만은 예외다. 매우 아름다웠고 동시에 사악한 분위기를 잘 조성했다. 또한 관객들이 보고 있는 것에 바로 집중해서 상호작용하게끔 했다) 마지막으로 최후의 회전목마 장면과 신발들은 극도로 아름다웠다. 하지만 그 지점에서도 더 큰 종류의 상호작용이 가능하지 않았을까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보다 큰 감정 이입을 유도하고, 관객들이 보고 있는 것과 자신을 연결한다고 믿을 수 있게끔 하는.

Creo que uno de los puntos más fuertes fue el lugar elegido, que le agregó una carga de significado y emocionalidad (al menos para los argentinos) a la experiencia, y la idea de hacer el recorrido con auriculares puestos, que ayudaron a la concentración y a cierta intimidad. También fue muy buena la estética de cada punto al que se llegaba: depurada, prolija, moderna, con una idea detrás pero a la vez margen para que cada espectador interpretase la situación. Los aspectos que me parecieron menos sólidos fueron la interacción entre los puntos de llegada y las fotos o videos a los que se accedía por QR, pero no en términos de tecnología (es decir, si la imagen cargaba más o menos rápido) sino de significado. La impresión que me quedó es que llegaba a cada punto con una expectativa que no resultaba satisfecha con esas imágenes, como si no quedara claro qué querían decir. Los objetos, en cambio, me parecieron más expresivos que esos registros audiovisuales. Una sensación similar me quedó con los actores, que en sus dos o tres intervenciones grupales creaban una sensación inicial de tensión que después se disolvía sin más. Como si hubiese una distancia o una falta de explosión que el espectáculo y el lugar permitían (la excepción es el juego de luces con linternas, que resultaba bella y siniestra a la vez, y que sin interactuar directamente nos involucraba a los que estábamos mirando). Por último, la situación final del carrusel y los zapatos era bellísima pero creo que ahí también podría haber algún tipo de interacción mayor, que le agregue emocionalidad o cree algún vínculo de los espectadores con lo que ven.

Things that Remember at Remembrance 2016 – Human Rights Center (Ex Naval School of Mechanics) 

Florencia Grieco (Journalist at Periodista)

Review

One of the work’s strongest points was the chosen location that holds a special meaning and place in the hearts of Argentines. On top of that, the idea of doing a headphone guided tour around the space made it easier for the audience to concentrate and feel greater intimacy. The aesthetics of each spot were very refined, neat and modern, giving the audience an opportunity to interpret it in their own way. However, certain aspects seemed less developed, such a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rival points and the photos or videos that were embedded in QR codes – not in terms of technology, but in terms of meaning. Meanwhile, I felt dissatisfied when I entered a space with high expectations. because I was let down by the images that remained unclear. The objects, on the other hand, seemed to have more expressive power than the audiovisual material. I had a similar experience with the actors who, in their two or three group performances, initially created a feeling of tension that then dissolved without much explanation. There was an estrangement or lack of explosion within the show and place except for the beautiful, yet sinister set of lantern lights that, without directly interacting, made us see the ones we were looking at. Lastly, the very last scene with the merry-go-round and shoes was strikingly beautiful. I do think there could have been more emphasis on interaction and emotional integration with the spect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