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
기억하는 사물들 2018 – 경기상상캠퍼스 공간1986 (구 서울대 농대), 수원
Things that Remember 2018 – Gyeonggi Sangsang Campus Space1986 (Ex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on
수원 서둔동은 정조가 화성을 건설한 후 수원을 경제적 기반이 튼튼한 자립적인 도시로 만들기 위해 운영한 국영 농장이 있던 곳이다. 이러한 터에 서울대 농대의 전신인 ‘농상공학교’는 1904년 서울에서 개교, 1906년 ‘농림학교’로 독립, 1907년에는 수원으로 이전하였다. 수원의 넓은 농장은 농업 연구에 최적의 조건이었을 것이고, 현재도 ‘농업 진흥청’과 ‘서울대 농생대’ 일부가 남아 있으면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일제강점기인 1918년 ‘수원 농림전문학교’, 1922년 ‘수원 고등농림학교’, 1944년 ‘수원 농림전문학교’를 거쳐, 해방 후 1946년 서울대학교에 ‘농과대학’을 정식 설치하였다. 이후 2003년 서울 관악캠퍼스로 이전하기까지 26만7000여㎡에 달하는 수원의 옛 서울대 농대 터는 한국 농업에 관한 연구와 교육의 중심역할을 담당하였다. 13년간 폐허로 남아있던 수원의 교정과 건물들은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여 2016년 ‘경기상상캠퍼스’로 개관하였다. 2018년 개관한 ‘공간1986’은 당시에는 대형 강의실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융복합 문화공유 플랫폼으로서 공연, 미디어, 다원예술, 컨퍼런스 등 다양한 창작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운영 중이다.
After the construction of Hwaseong Fortress, Seodun-dong become the site of King Jeongjo’s agricultural reform designed to turn Suwon into a self-reliant city with a strong economic foundation. Therefore, School of Agriculture, Commerce and Industry (the predecessor of SNU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opened in Seoul in 1904, re-established itself as School of Agriculture and Forestry in 1906, and then moved to Suwon in 1907. The expansive farms of Suwon would have provided the most ideal conditions for agricultural research. To this da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parts of SNU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are based in Suwon. Suwon College of Agriculture and Forestry was founded in 1918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college was renamed Suwon Highschool of Agriculture in 1922, and became College of Agriculture and Forestry in Suwon in 1944. In 1946, Seoul National University founded the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Before th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oved to Seoul, its former site of some 267,000 square meters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agricultural research and education of Korea. After a hiatus of thirteen years, the campus and buildings in Suwon were turned into a complex cultural space, and Gyeonggi SangSang Campus opened in 2016. Since 2018, Space 1986—a former lecture theater—has served as a site for various creative projects including performing arts, media, interdisciplinary art and conferences.
세부정보 Details
국가 : 대한민국
도시 : 수원
장소(과거) : 서울대 농대
장소(현재) : 경기상상캠퍼스 공간1986
공연 날짜 : 2018. 12. 15-16
공연 시간 : 토, 일 16:00
전시 날짜 : 2018. 12. 23-2019. 2. 15
회차 : 총 2회
공개 리허설 : X
리서치 : 기록 없음
제작 일정 : 총 59일
– 2018. 12.3-6 : 장치 셋업
– 2018. 12.9 : 오리엔테이션
– 2018. 12.10-16 : 예술가 워크숍/공연
– 2018. 12.19-21 : 전시셋업/전시오프닝
– 2018. 12. 23-2019. 2. 15 : 전시
– 2019. 1.26-27 : 청소년 워크숍
– 2019. 2.9-10 : 성인 워크숍
– 2019. 2.19-23 : 전시철수
회당 관객수 : 35명
장소 내 설치공간 : 23 공간
QR 형태 : 사운드, 영상, 이미지
QR 수 : 24
나레이션 수 : 23
설치 사운드 여부 : X
러닝타임 : 70분
참여인원 : 총 30명
Country : South Korea
City : Suwon
Former Venue :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Current Venue : Gyeonggi Sangsang Campus space1986
Performance Date : December 15-16, 2018
Performance Time : Saturday, Sunday 16:00
Exhibition Date : December 23, 2018-February 15, 2019
Number of Performances : 2
Open rehearsal : n/a
Pre-Research : No record
Production Schedule : Total production duration 59 days
– December 3-6, 2018 : technical setup
– December 9, 2018 : orientation
– December 10-16, 2018 : artist workshop/performance
– December 19-21, 2018 : exhibition setup/opening
– December 23, 2018 – February 15, 2019 : exhibition
– January 26-27, 2019 : youth workshop
– February 9-10, 2019 : adult workshop
– February 19-23, 2019 : wrap-up of the exhibition
Number of Audience Per Performance : 35
Installation Spaces at The Venue : 23 Spots
Format of QR : Sound, Video and Image
Number of QR : 24
Number of Narration : 23
Sound Installation : X
Performance Duration : 70 min
Number of Participant : Total 30


연출 김경희 프로듀싱 김민경 김보령 박지선 최봉민 드라마투르기 이미경 장치 송기선 조명 송성원 사운드 편집 곽소민 워크숍 코칭 윤진성 이윤정 기록 신정철(영상) 최용석(사진) 베트남어 통•번역 여옥수(Lê Thị Ngọc Thủy) 영문 번역 및 검수 Liz Cha 조용경 그래픽 김보라 워크숍 참여 및 출연 김남령・박진아・조아라・Le Quynh Anh・Pham Minh Tu・Tran Hai Linh 워크숍 참여 김효민・윤설・윤혜정・이경화・이미라・전수현・황동영 제작 창작그룹 노니 / 프로듀서그룹 도트 주최 경기문화재단 경기상상캠퍼스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국민체육진흥공단
나레이션 Narration
01 TU OUT
우리가 처음 즉흥 댄스를 함께 하고 그녀가 나를 들어올렸을 때다.
우리는 하나의 조화를 이뤄 매끄러운 리프트를 해냈다. 신체적인 접촉은 무척이나 부드러웠다. 그녀의 숨은 가볍고 차분했다.
그녀가 너무 가까워서 구불구불한 머리카락의 결까지 볼 수 있었고 이완된 팔 근육까지 볼 수 있었다. 찌푸린 미간은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햇살같은 조명이 그녀의 피부에, 머리카락에 묻어났다.
연습실과 사람들이 둥글게 돌았고, 그림자 놀이처럼 흐릿했다.
소리도 마찬가지로 있었지만 분명히 들리진 않았다.
모든 것이 조용하고 정지된 것 같았다.
그녀가 나를 내려놓았을 때, 나무바닥은 너무 편안했고 내 발을 빨아들이면서 단단히 준비시켰다.
2018년 12월 Pham Minh Tu
Khoảnh khoắc: hai chị em bắt cặp, thực hiên động tác bê đỡ khi múa ngẫu hứng.
khi ấy 2 ce rất cùng nhịp, cùng đà nên cú nâng rất nhẹ và chắc, sự tiếp xúc giữa hai người rất êm và thấm. Hơi thở nhẹ, yên.
Hình ảnh chị rất gần, rất nét, mái tóc nâu, xoăn và dày; bả vai tròn, gồng lên để nâng em. Khuôn mặt hơi cau lại, tập trung.
Ánh đèn rọi vàng như nắng, ánh lên, tràn trên cánh tay, xuyên qua những sợi tóc.
hình ảnh căn phòng, các bạn học chạy quanh như trò chơi đu quay hồi bé. Hình ảnh ấy chỉ lưu lại rất mờ, rất nhẹ.
Có những tiếng ì ào, tiếng nhạc nhẹ nhàng nhưng không rõ nét trở thành một cái gì đó rất im, rất tĩnh.
Khi hạ xuống, sàn gỗ nâu rất mềm. Cả bàn chân ôm chắc trên mặt sàn, vững vàng
Tháng 12 năm 2018, Pham Minh Tu
It was when she lifted me up during our first improvisation dance practice.
Her breathing was gentle and calm.
She was so close to me that I could even see the texture of her curly hair and tensed arm muscle.
Her frowning face showed how much she was focused.
The lighting alike to that of sunlight smeared on her skin and face.
The studio and the people were spinning hazy like a shadow play.
There was sound in the room but I certainly could not hear.
Everything seemed stopped in silence.
When she put me down, the wooden floor was so comfortable, and it absorbed my feet in total preparation.
December 2018 Pham Minh Tu
02 HYEJEONG OUT
초등학교 2학년이었던 늦은 오후, 친구 두 명과 길을 걸어가고 있었다.
맞은편에서 석간신문 배달을 마치고 신문배달용 손수레를 끌고 오는 엄마가 보였다. 가슴이 철렁하면서 얼굴이 살짝 붉어졌다. 잠깐 시선을 아래로 내렸지만 작고 머뭇거리는 목소리로 “엄마”라고 불렀다.
그날 저녁 식사 때 엄마는 아빠에게 “신문배달을 마치고 가는데 혜정이가 친구들이랑 맞은편에서 걸어오고 있었어. 나는 모른 척 할 줄 알았는데 그래도 아는 척을 하더라고.”라며, 연하게 미소 띤 얼굴로, 느리고 편안한 목소리로 말했다.
2019년 2월 윤혜정
It was late afternoon and I was second year in elementary school. I was walking down the road with two of my friends.
I saw my mom coming from the opposite side dragging her delivery cart after the evening newspaper delivery.
My heart sank and my face turned slightly red.
For a moment, I lowered my eyes then, I called out, “Mom” in a small and hesitant voice.
During dinner that day, mom told dad, “When I was coming back from delivering the newspapers today, I saw Hye-Jeong walking down the street across from me with her friends. I thought she would pretend she doesn’t know me, but she said hi,” in a relaxed voice with soft smile on her face.
February 2019 Hye-jeong Youn
03 ANH OUT
어느 날 밤, 나는 부모님 집에 갔다. 엄마가 저녁식사 준비를 하는 동안 내가 동의할 수 없는 이유들로 여느때와 같이 잔소리를 했고 곧 싸움으로 번졌다.
너무 격렬했던지라 나는 그녀를 보지도 그녀의 말을 듣지 않으려 노력했다. 나는 프라이팬과 그녀의 요리를 보고있었다. 재료들은 프라이팬 안에서 휘저어지고 있었고, 나는 불편한 감정이었다. 우린 가스불에 너무 가까이 서있었고, 불은 너무 뜨겁게 느껴졌고, 기름기 가득한 냄새가 나며, 바깥에선 스쿠터 타는 사람들의 소리가 나고, 이웃집의 클럽식 EDM음악은 너무 컸다. 하지만 난 아무것도 들을 수 없었다. 머리속으로 나는 프라이팬 위의 재료들을 되뇌었다 : 양파, 기름, 겨자잎, 고기, 양파, 기름, 겨자잎, 고기, 양파, 기름, 겨자잎, 고기.
2018년 12월 Le Quynh Anh
Một tối nọ tôi về thăm bố mẹ. Như thường lệ, trong lúc mẹ đang nấu cơm, mẹ than phiền về tôi, tôi và mẹ cãi nhau to. Đến nỗi tôi tránh nhìn mặt mẹ hay nghe những lời nói của mẹ lúc đó. Tôi nhìn vào cái chảo, vào thức ăn mẹ đang nấu. Những món thức ăn lẫn lộn đảo qua đảo lại trong chảo cũng như chính cảm xúc của tôi đang bị khuấy lên hỗn độn vậy. Tôi và mẹ đứng gần cái bếp, hơi nóng từ lửa phả ra rát mặt, mùi thức ăn nặng dầu mỡ bám vào thành khứu giác váng cả đầu, tiếng xe cộ qua lại ngoài đường cùng tiếng nhạc xập xình bên hàng xóm ồn ào nhưng tôi chẳng nghe thấy gì cả. Tôi đang lẩm nhẩm trong đầu: Hành, tỏi, dầu ăn, rau cải, thịt bò. Rau cải, hành, tỏi, dầu ăn, thịt bò. Dầu ăn, thịt bò, rau ải, hành, tỏi.
Tháng 12 năm 2018 Le Quynh Anh
One night, I went to my parents’ house. While my mother preparing a dinner, she nagged me as usual with reasons that I cannot agree with, and it became a quarrel. Since it was too intense, I tried not to look at her or listen to her. I was looking at the frying pan and food. The ingredients on the frying pan were stirred, and I felt obnoxious. We were too close to the stove, the fire was too hot, the air was full of oily smell, there was a sound of scooter outside, and the neighbor’s classic EDM music was too loud. However, I could not hear anything. I was going over the ingredients on the pan over and over in my head. Onion, oil, mustard leaf, meat, Onion, oil, mustard leaf, meat, Onion, oil, mustard leaf, meat…
December 2018 Le Quynh Anh
04 OKSU : THUY OUT
“반미”는 사이공에서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어디에서나 언제나 사 먹을 수 있고, 야외에 갈때 쉽게 가지고 다닐 수 있습니다.
만드는 방법이 매우 쉬워서 이렇게 처음 만나는 사람들이 같이 만들어서 금방 먹을 수 있습니다.
같이 앉아서 만들어봐요.
재료는 바게트, 오이, 토마토, 양파, 고수, 절인 당근과 무를 기본으로 소스는 마요네즈, 칠리, 간장을 준비하고
취향에 따라 베트남 소세지, 참치, 불고기, 계란을 준비합니다.
먼저 바게트 한쪽을 가른 후,
바게트 안쪽에 마요네즈 소스 바르고,
베트남 소세지, 토마토, 오이, 양파 등을 얇게 썰어 넣고,
새콤달콤하게 절인 무와 당근을 넣고,
향이 좋은 고수를 넣고,
특별한 간장 소스와 살짝 매운 칠리 소스를 뿌려서 완성합니다.
이제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서 맛보면 됩니다.
2018년 12월 여옥수
“Bánh mì thịt ” là món ăn đặc trưng ở Sài Gòn.
Ở đâu hay bất cứ nơi nào chúng ta cũng có thể mua và thưởng thức. Nhất là khi đi dã ngoại.
Cách làm rất đơn giản ạ. Lần đầu gặp nhau thế này chúng ta cũng có thể làm và thưởng thức ngay được ạ
Chúng ta cùng ngồi xuống và làm thử nhé.
Nguyên liệu cơ bản gồm có bánh mì, dưa leo, cà chua, củ hành, ngò, dưa chua, nước tương và tương ớt
Tùy theo khẩu vị của từng người có thể thêm chả lụa, cá mòi, thịt nướng, hột gà op la..vv
Đầu tiên chả lụa, cà chua, dưa leo, củ hành, tất cả nguyên liệu điều cắt mỏng. Sau đó mổ một bên bánh ra, phết bơ điều vào trong bánh và cho từng nguyên liệu vào, cho thêm chút đồ chua, ngò, đặc biệt là nước tương và tương ớt.
thể là chúng ta đã hoàng thành ạ.
Và bây giờ chúng ta cắt bánh vừa ăn và mọi người có thể thưởng thức được rồi ạ.
Tháng 12 năm 2018, Ok-su Yeo
Banh mi is a representative food of Saigon.
You can buy it anywhere, anytime. It is easy to bring it with you when you’re out.
It is very easy to make that you quickly make and eat it with people you’ve met for the first time like this.
Let’s make a Banh mi.
The ingredients are a baguette, cucumber, tomato, cilantro, brined carrot and pickled radish, mayonnaise, chili, and soy sauce.
You can prepare [extra ingredients such as] Vietnamese sausage, canned tuna, marinated beef in Vietnamese style, eggs as you like.
First, cut the baguette in half.
Spread mayonnaise on one side.
Slice Vietnamese sausage, tomato, cucumber, onions and place them in the baguette.
Put the sweet and sour carrot and picked radish,
some fresh cilantro.
To finish it off, put this special soy sauce and chili.
Now, let’s cut this Banh mi into a good size to eat, and taste it.
December 2018 Ok-su Yeo
05 SEOL OUT
1. 이 교실은 다른 교실들 보다 크다. 오후 5시쯤 되었을까 싶다. 두껍지 않은 녹색 커튼이 해의 잔상만 머금는다. 교실은 어둡고 내 자리는 가장 안쪽의 교탁 옆이다. 다 못 친 커튼 사이로 삐져나온 햇살이 길고 나는 그제야 바닥에 쪼그려 앉는다.
2. “어제 B는 교무실에 왔다가 울고 갔어.”
부러진 발목으로 서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기다려서 왔던 저녁이 까맣고 바닥은 따뜻한데. A의 눈빛이 차갑다. 무섭다. 나는 여기에서, 나를 해명해야 하는 건지 모르겠어서, 안타깝다는 듯 얼굴의 윗부분만 일그러트린다.
3. 겨울. 다시 따뜻한 바닥에 둘러모여 앉아있다. 가벼운 목소리들이 오가고 아랫배가 땡겨온다. 옆에 있던 D가 내 핸드폰을 만지작거리더니 액정필름을 뜯어버리려 한다. 나는 놀란 표정으로 덥석 그의 손을 저지한다. 그냥 떼버리라니까. 반쯤 벗겨진 필름에 온갖 먼지가 붙어 화면이 안 보인다. 다시 붙을 수 있다는 것처럼 나는 핸드폰을 평평하게 누른다.
2019년 1월 윤설
1. This classroom is bigger than the others. I think it’s around 5 P.M. Only the green curtain that is not too thick, wears an afterimage of the sun. The classroom is dark and my seat is in the most innermost spot next to the teacher’s desk. The sunlight stretches out from a slightly opened curtain. At last, I scooch down.
2. “Yesterday, B cried after visiting the teacher’s room.”
I feel like as if I’m standing up with a broken ankle. The evening I longed for is dark and the floor is warm. But the look in the A’s eyes is cold. It’s scary. Standing here, I don’t know if I should explain myself or not. I only squint my upper face with pity.
3. Winter. Once again, we are sitting in a circle on the warm floor. Mere exchanges of voices are made and I get a cramp in my lower belly. D sitting next to me who was toying with my mobile phone tries to remove the protective film. I stop his hand with a surprised look. He says, “I told you to just remove it.” The half-torn protective film is covered with dirt that it makes it hard to see the screen. I press the film flatways as if I can stick it again on my cell phone.
January 2019 Seol Youn
06 MIRA OUT
2001년 겨울 1월 합숙소. 아침. 큰 바늘이 6과 7사이 작은 바늘이 8과 9사이.
주섬주섬 녹색 잠바를 걸치고 꽃무늬 양말을 신고 합숙소 문을 연다. 찬바람이 쑤욱 들어온다. 회색빛의 하늘이 처음 눈에 들어온다. 그리고 들리는 소리 똑 똑 똑.
나는 무심코 소리 나는 곳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어? 소리 나는 곳 앞에 니가 앉아 있다.
너도 나의 발소리를 들었는지 뒤를 돌아본다. 너와 나는 눈이 마주친다.
“ 왜 이렇게 일찍 일어났어? ” 니가 말한다. 나는 멋쩍게 양 입꼬리가 살짝 올라간다. 나는 너의 옆으로 가서 앉는다. 하얀 나의 입김, 하얀 너의 입김이 만나 연기처럼 피어오른다.
어느새 똑똑똑 소리는 똑또르르 똑또르르 또르르르 또르르르 르르르르 변한다.
너는 말한다. “ 소리가 청명해. 물도 청명해. 이렇게 추운데… 살아있어. ”
나는 “ 너무 크게 들린다 ” 너에게 처음으로 말을 건넨다. 너와 나는 그냥 그렇게 소리를 듣는다. 그렇게 나는 너의 소리를 나의 달팽이관에 담았다.
2019년 2월 이미라
Winter. January, 2001. Training center. Morning. The longer clock hand between 6 and 7 and the shorter clock hand between 8 and 9.
One by one, I put on a green jumper, flower patterned socks, and open the training center door. Cold wind blows through the door. The gray sky is the first thing that catches my eyes. Then a sound, drip-drip.
Without thinking, I start walking towards where the sound is coming from. Huh? You are sitting in front of the place where the sound is coming from.
You turn around as if you’d heard my footsteps. Our eyes meet.
“Why did you wake up so early?” You ask. Feeling awkward, the corner of my lips slightly draws up. I sit next to you. My white breath meets your white breath and billow like a smoke.
The sound, drip-drip becomes dri——-p dri———-p dri——–p
You say, “That sound is clear. The water is also clean. It’s alive despite of the icy weather.”
“It’s quite loud,” I speak to you for the first time. You and I just listen to the dropping sound.
I saved the sound of you into my cochlea.
February 2019 Mi-ra Lee
07-1 JINA OUT
깊다.
깊은 어둠속에 있다.
없다. 우리의 사진에 나도, 여자도, 스피커도
소화전을 열어본다, 차갑다, 쿠르르쾅, 없다.
소화전 위의 문도 열어본다. 없다.
번뜩, 현관문을 지나다 기억이 났다.
뒤적여본다, 없다. 아무것도, 여자도 스피커도, 기대도
혹시나 했던 기다림이 없음으로 끝이 난다
약간의 투덜거림, 잘 잊어간다고 생각한다.
희뿌연 것들을 후후 불어가며 무언가를 찾고 있다.
없을걸 알지만 있을지도 모른다는? 그것을 찾는다고 딱히 반가울 것 같지만은 않지만.
깊다. 깊은 어둠속에서 있다.
아무렇지 않게 현관문을 연다.
무얼 찾냐는 엄마의 물음을 대충 넘기며,
그녀의 기억도 대충 넘긴다.
2018년 12월 박진아
Sâu thẳm.
Bóng đêm sâu thẳm
Không, tấm hình chúng tôi, phụ nữ, không.
Mỡ bình cứu hoả xem, lạnh, tiếng động lớn, không
Trên bình cứu hỏa mo ra. Không.
Bỗng nhiên, đi ngang qua cửa, tôi nhớ lại
Lật tung mọi thứ, Không thấy gì hết, kể cả phụ nữ và cái loa. Đợi
Có khi nào có ai đợi, không cũng như kết thúc
Lầm bầm, tôi nghĩ quyên đi
Huuu thối đi cái gì đó mơ mơ ao ao có cái gì đó quay về.
Tuy biết rằng không cũng có khi có? Tìm cái đó nếu như có thì sẽ rất vui.
Sâu thẳm. Trong bóng đêm sâu thẳm
Mở cửa một cách vô thức
Tìm cái gì? Mẹ hỏi tôi trả lời bân quơ
Tôi lại bân quơ nghĩ về cô ây và cũng có thể không vui
Tháng 12 năm 2018, Bak Jina
Deep.
(It) is, in deep darkness.
There is nothing. Nothing, no woman, no speaker, no expectation.
There is nothing. Not me on our photo, not her, nor the spear.
I open the fire hydrant box. It’s cold. Bang. There is nothing
I open the upper door of the fire hydrant box. It’s not there.
Suddenly! I remembered as I passed the front door.
I rummage through my stuff. It’s not there. Nothing, the woman nor the speaker, expectation neither.
My lingering feeling of waiting ends in nothingness.
I mutter a little. I think I’m doing well getting over it.
I’m blowing on something hazy in search for something.
I know it’s not there but, maybe it’s there.
Well, finding that may not be that pleasant anyways.
Deep.
(It) is, in deep darkness.
Open a door as if nothing happened.
Like I disregard my mother questioning what I’m looking for,
I disregard the memory of her.
December 2018 Jina Bak
08 KYUNGHWA OUT
내가 보낸 카톡 창의 숫자 1이 사라지지 않는다.
전화도 받지 않는다.
3일째다.
그녀를 찾아간다.
그녀가 없다.
다음날 다시 그녀를 찾아갔지만, 이번에도 없다.
이틀 뒤 발걸음을 재촉하며 그녀를 다시 찾아간다.
안부를 먼저 물어본다.
“잘 지냈니? 연락이 안돼서 왔어.”
그녀는 나의 시선을 피한다.
그녀는 몸이 아팠다고 한다.
“그랬구나…” 잠시 정적이 흐른다.
자리에서 일어서는 나를 그녀는 현관문까지 배웅한다.
뒤돌아 오는 등 뒤로 문 닫히는 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나는 가벼운 발걸음으로 현관문과 멀어진다.
2019. 2. 이경화
Number 1 on the my kakao messenger window does not disappear.
She’s not even answering her phone.
It’s been 3 days.
I visit her.
She is not there.
The next day, I visit her again, but she’s still not there.
2 days later, I visit her in hurry.
I first ask her if she’s well.
“How are you doing? I came here because I couldn’t reach you”
She avoids my gaze.
She says she was sick.
“I see…” A moment of silence.
She sees me to the door.
I cannot hear the door closing behind me.
I walk away from the door with feeling of relief.
February 2019 Kyung-hwa Lee
09 ARA OUT
매를 맞는 동안 시간이 얼마나 흘렀을까…
방 안은 이미 어두워졌다.
할머니가 빨아준 옷에서는 늘 걸레냄새가 났는데,
매를 맞는 동안 땀이 났는지 걸레냄새가 피어올랐다.
그날 밤, 캄캄한 방에 모로 누운 뚱뚱한 할머니의 뒷모습이 벽처럼 느껴졌다.
할머니는 이미자의 여자의 일생을 흥얼거렸다.
그 소리가 아직도 귀에 쟁쟁하다.
2018년 12월 조아라
Trong khoảng thời gian bị đòn biết bao nhiêu thời gian đã trôi qua…
Trong phòng trở nên tối dần
Bà giặt quần áo của tôi lúc nào cũng có mùi giẻ lau
Mỗi khi bị đòn đổ mồ hôi mùi mồ hôi và giẻ lau pha lẫn
Vào một buổi tối, bà nằm trong một căn phòng tối om cơ thể bà mập và to tôi cảm giác như một bức tường
Bà tôi thường nghêu ngao hát bài của I Mi Cha ” Cuộc đời phụ nữ “
Những âm thanh đó cứ vang vang trong đầu tôi
Tháng 12 năm 2018, Jo Ara
How long has it been since the beating began?
The room was already dark,
The clothes washed by my grandmother always smelled like a mop.
Maybe I was sweating when getting beaten. The musty smell of mop spread.
That night, the back of my overweight grandmother lying on her side in the dark room looked like a wall.
She hummed ‘Life of Women’ by Mi-ja Lee.
Her humming is still ringing in my ears.
December 2018 Ara Jo
10 NAMRYEONG OUT
그녀는 여자아이의 검고 긴 생머리를 곱게 빗어주었다. 매일 아침 작은 의식처럼 머리를 만지며 찬송가를 읊조리곤 했다. 아직도 기억이 난다. 어느덧 긴 머리는 또 다른 아이의 형상이 되었다. 꾸준한 사랑이었다.
여자아이는 스스로 머리를 빗고 묶게 되었다. 그녀의 작은 의식은 사라지게 되었다.
미용실에 울음소리가 가득 찼다.
미용사의 애조가 담긴 얼굴과 반대되는 움직이는 가위와 손, 가만히 앉아 소리지르며 울고 있는 여자아이, 표정이 없는 얼굴로 지켜보고 있는 그녀.
사랑이 잘려나갔다. 그것은 더 큰 사랑이었다고 한다.
2018년 12월 김남령
Cô ây gọi đầu cho con gái của minh sau đó chải đầu thật đẹp cho con. Tham gia thánh lễ và giọng hát ngân nga nó in vào ký uc tôi. Vào một ngày nọ mái tóc dài của tôi thay đổi thành một đứa trẻ khac. Thường xuyên yêu thương
Muốn trở thành một đứa bé gái tự mình chải tóc và cột tóc cho mình. Những nghi lễ hoàn toàn biến mất. Tôi khóc rất nhiều trong hiệu làm tóc.
Người thợ làm tóc có khuôn mặt buồn và sự phản đối bắt đầu chuyển động kéo và bàn tay. Tiếng la ngồi yên và tiếng hét của bé gái. Và một khuôn mặt không có biểu cảm đang chăm chú nhìn.
Giống như cắt đi sự yêu thương. Đó cũng chính là sự biểu thị sự yêu thương
Tháng 12 năm 2018, Kim Nam-ryeong
She combed the young girl’s long black hair. She hummed a hymn while combing the girls’ hair everyday as a small morning ritual. I still remember. One day, the long hair became another aspect of the girl. It was endless love.
Eventually, the girl became able to comb and tie her hair by herself. [The mother’s] little ritual is faded away.
The salon was filled with cries.
Contrary to the sad face of the hairdresser, her hands and the scissors moved fast, the girl was crying out loud sitting yet, without moving. [The mother] l was staring at her with emotionless face.
The love got cut out. That was much bigger form of love.
December 2018 Nam-ryeong Kim
11 DONGYOUNG OUT
9월달 가을 사람이 많았던 한강에 오후 5시
나는 귀에 이어폰을 꽂고 볼륨을 최대로 올렸다
사람은 많았고 그중 내가 아는 사람은 없었다
그때 내가 들은 노래는 한숨 이라는 노래였다
작은 한숨 내뱉기도 어려운 하루를 보냈다는걸 안다는 노랫말
뻣뻣했던 몸의 긴장이 풀려 축 쳐졌다.
내 이어폰은 내 귀에만 소리를 들려주었고
바깥의 소리는 안들리게 막아주었다.
2019년 1월 황동영
Autumn in September. At crowded Han River Park at 5 P.M.
I put on the earphones and turned up the volume to the max.
There were a lot of people but nobody I knew.
The song I was listening to was “Breathe.”
The lyrics saying, “I know you had a day too hard to even take a little breath.”
My tensed body became relaxed and loosened.
My earphones allowed the sounds to be heard only by my ears.
It protected me from the outside noise.
January 2019 Dong-young Hwang
12 LINH OUT
따뜻한 새해 전 날, 나는 땅에서 피는 연꽃이 그려진 리-씨(돈을 넣어 주는 봉투)를 할머니에게 드렸다. 할머니는 눈이 잘 안보이기 때문에 엄마는 그녀에게 물었다. “린이 그린 게 뭔지 알아?” 굽은 허리로 그녀의 침대에 앉아 눈을 가늘게 뜨고 리-씨를 눈 앞에 가져다 대었다. 그녀의 눈썹이 ^ 모양으로 올라가며, 하하하 웃음을 터뜨렸고, 웃느라 몸이 흔들렸다. 그 순간 나는 새해 첫날의 밝은 햇빛속에 꽃이 피는 듯한 따스함을 느꼈다
2018년 12월 Tran Hai Linh
Trong không gian ấm cúng của ngày mùng 1 tết, tôi mang biếu bà chiếc lì xì có vẽ hình bà đang tưới những cây hoa sen đất. Vì mắt bà mờ không thấy rõ, mẹ tôi hỏi” bà biết cái Ly nó vẽ gì đây không? Bà ngồi trên giường với chiếc lưng còng, đôi mắt nheo lại lâu và vươn đôi tay ra đón lấy chiếc phong bao và kéo chiếc lì xì gần mắt. Đôi lông mày hình ^ bỗng rướn lên và tiếng cười phá lên HAHAHA, thân hình bà lúc ấy rung lên thật đã. Thời khắc đó tôi cảm nhận được sự ấm áp, bừng sáng tươi mới như ánh nắng của ngày đầu năm mới, sự bình an, và tràn đầy sức sống như những khóm hoa kia đang vươn mình khoe sắc nở
Tháng 12 năm 2018, Tran Hai Linh
On the warm day before the New Year’s Day, I gave my grandmother an envelope (for new year’s allowance money) with my drawing of ground lotus. Because her eye sight was not good, my mom asked her, “Can you recognize what Linh drew?” She was sitting on a bed with her back hunched, and with squinted eyes, she moved her face to close to the envelope. She burst into laughter as her eyebrows raised in a shape of ‘^’. Her body shook from her laughter. I felt warmhearted like a flower blooming under new year’s sun light.
December 2018 Tran Hai Linh
13 NAMRYEONG IN
그녀는 감사라는 말을 쓰기를 좋아했다. 안경 너머로 보이는 큰 눈속에서는 여린 눈물이 자주 흘렀다. 어느샌가 키가 조금 줄었다. 162cm쯤 되려나..
도톰한 입술과 살짝 그을린 피부에는 화장기를 찾아 볼 수 없다. 머리카락이 짧다. 곱슬이라 그런지 늘 펌을 한 모양같다. 흰머리가 좋아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염색하기를 그만 두었다. 머리가 희끗하다. 몸이 아팠다. 살이 많이 빠져 제법 야위었으나 그래도 건강해보인다. 언젠가부터 내옷을 입을 수 있게 되었다. 치마와 구두가 아닌 청바지와 운동화를 사기 시작했다. 약간은 나이 든 소년같아 보인다.
1964년 1월 28일생, 여전히 늘 행복하다고 얘기한다. 그녀는 나의 어머니이다.
2018년 12월 김남령
Bà hay nói cảm ơn.
Chúng tôi đã từng nhìn thấy nhiều lần bà khóc, qua cặp kính. Nước mắt rỉ ra từ đôi mắt to.
Theo tuổi tác, chiều cao của bà giảm dần, bà chỉ còn cao khoảng 1m62.
Bà có đôi môi dày, làn da rám nắng, không hề trang điểm.
Mái tóc ngắn, xoăn tự nhiên trông giống như được làm trong tiệm.
Bà nói rằng bà bắt đầu thấy yêu thích mái tóc bạc của mình.
Và bà dừng nhuộm tóc.
Giờ mái tóc của bà đã nhuốm bạc nhiều hơn.
Bà từng bị ốm.
Bà bị giảm nhiều cân và trở nên gày hơn trước. Tuy vậy trông bà vẫn rất khỏe.
Tôi không biết tự bao giờ, bà có thể mặc vừa áo của tôi.
Bà bắt đầu mua quần jean, giày thể thao, chứ không phải váy, giày nữ tính.
Trông bà thật sự giống một chàng trai trưởng thành.
Bà sinh ngày 28 tháng 1 năm 1964 và bà vẫn cảm thấy niềm hạnh phúc.
Đó là mẹ của tôi.
Tháng 12 năm 2018, Kim Nam-ryeong
She always said, ‘Thank you’.
Tears had often fallen from her big eyes beyond her glasses.
Before she knew, she shrunk. Probably, around 162cm or so. She has plumped lips, a little tanned skin with no trace of make-up. Short hair. Because she has naturally curly hair, it always looked like she got a perm. She said she became to like gray hairs. She stopped dying her hair. Gray hair. She’s weak. Lost quite a lot of weight, but still seems healthy. For some time, she was able to wear my clothes. She now wears jeans and running shoes rather than skirts and shiny shoes. She kind of looks like a boy who had aged a bit. Born on January 28th, 1964. She always says she’s happy. She is my mother.
December 2018 Nam-ryeong Kim
14 LINH IN
나의 할머니는 90살 가까이 되고, 시골에서 혼자 산다. 자식들은 그녀를 가끔 방문할 뿐이다. 그녀는 둥근 얼굴, 넓은 등, 통통한 체형, 특히 ^ 모양의 눈썹을 가지고 있고 5블럭이나 떨어진 누군가를 부르거나 사나운 개로부터 나를 보호하려 할 때처럼 큰 목소리로 말한다. 나이가 많아서 더이상 잘 볼 수 없고, 그녀의 등은 많이 굽어 쉽게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휠체어를 탄다. 주름이 많은 손으로 자식들을 키웠으며 여전히 온 가족을 위해 종종 짱아찌를 담근다 : 야채를 썰고, 양념을 하고, 버무리고, 모두 그녀 혼자 한다. 그녀는 집에 땅에서 피는 연꽃을 많이 키운다.
2018년 12월 Tran Hai Linh
Bà tôi năm nay đã gần 90 tuổi, sống một mình ở quê, con cái ở xa thi thoảng mới có thời gian về chăm nom bà. Bà có khuôn mặt tròn, cái lưng to, dáng người đầy đặn, giọng nói vang sang sảng và đặc biệt là chiếc lông mày hình dấu ^. Do tuổi cao nên đôi mắt của bà đã mờ, lưng bà còng nên việc đi lại rất khó khăn nên hằng ngày bà phải di chuyển bằng xe đẩy. Đôi tay bà nhăn nheo những nếp nhăn, chính đôi tay ấy đã nuôi những người con khôn lớn, và cho đến bây giờ đôi tay ấy vẫn thường xuyên bê đá, xóc cà, nhén muối cẩn thận để nén cà cho cả nhà ăn. Bà trồng rất nhiều cây hoa sen đất, tôi yêu loài hoa này, vì mỗi lần thấy nó là tôi nhớ về bà, nhớ về gia đình với tràn ngập sự hạnh phúc, sum vầy và bình an.
Tháng 12 năm 2018, Tran Hai Linh
My grandmother is almost in her 90’s, and lives alone in a country side. It’s just her children visiting her from time to time. Her round face, wide back, little bit chubby body, she especially has ‘^’ shaped eye brows, and speaks very loudly as if she is calling someone about five blocks away or as if she is trying to protect me from a fierce dog. Her eye sight is bad because of her age, so she cannot see well. Since she cannot move easily with her hunched back, she rides a wheelchair.
She raised her kids with her wrinkled hands. She still makes Vietnamese pickles for her family.
Cutting up vegetables, making sauces, mixing them, she does everything on her own. There are a lot of ground lotus in her garden.
December 2018 Tran Hai Linh
15 SOOHYUN IN
옛날에 창고로 쓰인, 문을 안에서는 잠글 수 없는 아주 조그마한 지하방. 가스는 들어오지 않아 차가운 수돗물만 파란 호스로 나오는, 곱등이가 나오는 지하방. 어쩌다 보니 초등학교 6학년 말부터 엄마랑 같이 살지 않았다. 혼자 중학교 1학년 때 친구네 집에서 놀다 새벽 2시~3시 쯤에 아무도 없는 캄캄한 지하방에 홀로 들어갔다.
그럼에도 집에 있을 수 밖에 없을 땐, 한밤중에 막내 이모에게 받은, 거의 고장나 몇 개의 채널만 들리는 라디오를 들었다. 라디오를 듣다 문득 무언가 떠오르면 학교에서 글짓기 대회 상품으로 받은 노트를 폈다. 회색 노트의 스프링은 조금 빠졌고 하드 커버 임에도 가에가 벗겨졌다.
쓰는 글씨는 똑바르다가 감정이 들어가면 괴발새발이 되었다가 말로 표현할 순 없을 때 그림을 그렸다. 아주 낮은 앉은뱅이 상에 그림을 그리면 허리가 아팠지만 나의 감정을 도저히 표현할 길이 이것 밖에 없기에 허리가 아픔에도 그림을 그렸다.
2019년 1월 전수현
A tiny basement that cannot be locked from inside used as a warehouse before. A basement full of crickets without a gas facility that only cold water comes out of a blue hose. I happened to not live with my mom since I was 13 years-old. When I was in my first-year middle school, I came back alone to this very dark basement 2 or 3 in the morning after playing at my friend’s house where there was nobody around.
Nevertheless, when I had to stay home, I listened to the radio from my aunt that only had just few stations working in the middle of the night. When an idea suddenly came to my mind while I was listening to the radio, I opened up my notebook that I got as a prize from a writing contest at school. That gray notebook spring fell off a bit, and even thought it was a hard cover, the corners were peeled off.
My handwriting that had started off neatly became messy along with the change in my emotion. When it became impossible to express myself in writing, I started to draw.
Drawing while sitting at a very low table hurt my back. However, there was no other way to express my emotions that I continued to draw despite it hurt my back.
January 2019 Soo-hyun Jeon
16 JINA IN
여자. 키는 155정도 약간 통통한 체격으로 뒷모습은 웰시코기를 닮았다. (월월)
1986년생, 빠른 생일. 술은 즐기지 않고 담배는 아직 피지 않는다. 검은 머리카락, 흰 새치가 드문드문 나 있다. 바람에 날린 단발머리 스타일. 하얀 얼굴에 한쪽 눈에만 쌍꺼풀이 있다. 오똑한 코. 도시적인 옷차림과 쉬크한 눈빛. 옷은 매일 다르게 입지만, 악세사리는 거의 매일 같다. 금색-은색, 귀걸이-목걸이-반지, 화려하지 않은 악세사리 여러개를 착용한다.
평소엔 렌즈를 낀다. 잠들기 전에 세안을 하고 안경을 낀다. 짙은 아이라인을 지우면 꽤나 순둥해진다. 누군가는 그 모습이 교수 같다고 했다. 성격은 내성적이고, 친해지는데 시간이 걸리는 편이다. 늘 배려하고, 똑 부러지는 성격. 친해지면 장난을 많이 치고 애교가 많아진다. 기분이 좋을 땐 꺄르르꺄르르- 아이처럼 웃는다. 두 팔을 들고 엉덩이를 흔들며 춤을 춘다.
반스 운동화를 즐겨 신는다.
2018년 12월 박진아
Người phụ nữ,
Bà cao khoảng 1m55. Dáng người đầy đặn. Nhìn từ phía sau, bà trông giống dáng một chú chó corgi (gâu gâu). Bà sinh năm 1986. Bà không hề uống rượu hay hút thuốc. Mái tóc bà màu đen, ngắn ngang vai kiểu bob, bay bay trong gió, thỉnh thoảng có một sợi bạc . Làn da sáng, có 1 bên mắt 2 mí. Bà có một chiếc mũi cao, hếch lên một cách tự tin. Bà ăn mặc khá hợp thời và có vẻ ngoài cá tính. Trang phục hàng ngày của bà thường khác nhau nhưng lại luôn dùng cùng một thứ đồ trang sức: vàng, bạc, khuyên tai, vòng cổ, nhẫn. Dù bà đeo trang sức bằng bạc nhưng không hề tạo cảm giác fancy.
Hàng ngày, bà hay đeo kính áp tròng. Trước khi đi ngủ, bà tẩy trang và đeo kính. Khi bà tẩy đi nét kẻ mắt, trông bà khá dễ mến.
Có một vài người nói hình ảnh này của bà trông như một giáo sư.
Bà là người hướng nội, cần thời gian để có thể trở nên gần gũi với bà. Bà là người thông minh, rộng lượng. Khi chúng tôi ở gần bà, bà hay kể chuyện cười và thể hiện sự vui tính của mình. Khi bà cảm thấy vui, bà cười như một đứa trẻ (á hahaha )
Bà hay nhảy múa với động tác vẫy tay và lắc hông. Vans là nhẵn hiệu giày bà thích sử dụng.
Tháng 12 năm 2018, Park Jina
Woman, Her height about 155cm.
Little chubby, and her back side reminding me of a Welsh corgi. (woof woof)
Born early in 1986, does not like alcohol, have never smoked yet.
Black hair, prematurely gray hairs are scattered. Bobbed hair curled outwards as blown by the wind.
She only has one double-eyelid on one side. Prominent nose. City girl fashion style with chic look in her eyes. She wears different clothes every day but the accessories are almost always the same.
Gold-silver, earrings-neckless-ring, wears many of simple shaped accessories.
She usually wears contact lenses. She wears glasses after washing her face before going to bed. If she removes her eyeline, she looks quite naive.
Someone said that she looks like a professor.
She is introverted and needs time to become close.
Always concerned of others, and sharp.
Once you become close to her, she becomes playful and quite charming.
When she is pleasant, she laughs like a kid.
Raises both her arms, and dances as she shakes her hips.
She likes to wear Vans sneakers.
December 2018 Jina Park
17 OKSU : THUY IN
나는 누워서 눈을 뜨고 엄마를 관찰했다.
엄마가 옷을 입고 장바구니 옆에 쪼그리고 앉아 눈물을 흘린다. 엄마가 나를 등에 업고 아빠 모르게 집을 떠난다.
따르릉 시클로 소리, 비와 바람 소리, 조용하고 컴컴한 새벽에 엄마와 나는 함께 시클로를 타고 고속버스 정류장에 갔다.
내가 춥지 않게 엄마가 나를 안아주었다.
“엄마 몸은 따뜻하고 내가 좋아하는 그 냄새가 난다.”
오래된 버스를 타고 시골에 가다보니, 갑자기 차 안에서 어느 할머니 목소리가 들린다.
“빨리 가요, 왜 거북이처럼 느리게 가요?”
그 말이 들리고, 바로 뒤에 차 사고가 나서 강물에 빠질 뻔했다.
다행히 강물에 빠지지 않게 강 근처에 있는 나무들이 막았다.
모두 무사했다.
혼란스러운 순간, 사람들 울음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기사님이 어린 나를 먼저 구해줬다.
엄마가 나한테 사준 구두 한 짝이 사라졌다. 빗물 때문에 우리는 추웠고 나는 울며 계속 구두를 달라고 했다.
엄마가 장바구니를 들고 나를 업어주었다.
나를 업고 할머니 댁에 도착할 때까지 베트남 자장가를 불러줬다.
(자장가 내용) “나무 다리가 너무 약하니 엄마가 손을 잡고 다리를 건너 데려다줄게. 우리딸은 학교를 가고 엄마는 인생을 찾아 갈게”
추웠던 날씨, 빗소리, 엄마의 슬픈 목소리, 바람 소리가 지금까지…
그 장바구니를 보면 엄마의 슬픈 모습이 떠오른다.
2018년 12월 여옥수
Đầu tiên không gian tình lăng, tiếng gà gáy buổi sáng tiếng mưa lách tách tiếng gió ngoài cửa sổ tiếng ngái của ba ..tiếng bước chân nhè nhẹ của mẹ
tiếng sột soạt co sát của quần ao trong tinh mơ mẹ mặc ao dài ngồi bó gối bên chiếc giỏ cùng tiếng khóc thúc thích..
Sau đó mẹ âm thầm âm tôi đi khi ba còn ngái ngủ..
Mặt trời buồn cũng chẳng buồn lo dạng
Mẹ cống tôi đi và ru tôi ngủ trên lưng mẹ tôi nghe được hơi thở tiếng hát ru cùng hòa nhịp với tiêng mưa và gió..
Chiếc xích lô lọc cọc trong sương mờ mẹ ôm tôi cho bớt lạnh ra bến xe về ngoại..
Chúng tôi ngồi trên một chiếc xe đo nhỏ củ kỹ đầy ap người..
Bỗng nhiên có một giọng nói phát ra chạy xe gì mà chậm như rùa vậy … vừa dứt câu là xe bịt trơn trượt hẳn xuống sông..
May mắn xe được giữ lại nhờ những nhánh cây vệ đường cả đoàn xe thoát chết..
Tôi và mẹ may mắn nằm trên nên không bị xay xát chú tài xế cố lôi tôi ra khỏi xe
Lúc đó tôi bị mất chiếc guốc mẹ mới mua cho tôi khi chuẩn bị về thăm bà ..
Tôi và mẹ bị lạnh do mưa làm ước hết cả người
Tôi cư mãi khóc đòi chiếc guốc
Và mẹ cổng tôi đón xe khác về thăm bà ..chiếc giỏ xach đựng bánh mì của mẹ làm quà cho mọi người cũng bị sai sát ..
Trên đường mẹ cổng tôi về nhà mẹ hát ru tôi nghe
Di dau cầu dang đóng đinh
Khó đi mẹ dắt con đi
Con đi trường học mẹ đi trường đời
Giọng hát buồn của mẹ hòa lẩn trong tiếng gió tiếng mưa lạnh lẽo theo tôi đến tận bây giờ.
Tháng 12 năm 2018, Ok-su Yeo
Lying down with my eyes opened, I observed my mother.
She puts her clothes squatting down beside the shopping and cries.
She carries me on her back and leaves the house without letting my father know.
Ting-a-ling, cyclo sound, and the sound of rain and wind. My mother and I took the cyclo to the express bus station at the break of dawn, silent and dark.
She hugged me to keep me warm.
“My mom is warm and has a scent I like “
On our way to the country side on the old bus, a voice of an old woman suddenly came from inside the bus.
“Hurry up, why are you moving so slow like a turtle?”
Right after, an accident occurred that the bus almost got into the river.
Fortunately, the trees on the riverside prevented the bus from sinking in the river.
Everyone was safe.
In the middle of the chaos, people crying were heard.
The driver saved the youngest passenger, me, first.
I lost one of my shoes that my mother bought. It was cold because of the rain. I kept asking for my shoe in tears.
My mother gave me a piggy back as she was holding a shopping basket.
She sung a Vietnam lullaby to me with me on her back until we arrived at my grandmother’s house
(lullaby) “Because this wooden bridge is too weak, I will hold your hand until we cross the bridge. My daughter, you go to a school, and I will make the best out of my life.”
The cold weather, the sound of rain, my mother’s sad voice, and the sound of wind…
It still reminds me of my mother’s sad face when I look at the shopping basket.
December 2018 Ok-su Yeo
18 SOMIN IN
1. 아빠의 여동생. 현을 떠올리면 그림과 스페인어, 그리고 바퀴벌레와 귀신이 생각난다. 현의 배는 불뚝 나왔으며 얼굴엔 기미가 많고 긴 머리는 중앙부터서서히 빠져가고 있다. 할머니와 많이 닮은 얼굴에 목소리가 높고 조용한 현은 항상 미소를 짓고 있었다. 현이 목소리를 내는 순간은 그녀의 귀에만 들리는 목소리와 대화를 할 때 뿐이었다. 초점없는 눈동자. 허공을 보고 내뱉는 단어와 웃음. 같이 있음에도 항상 다른 곳에 있는 것 같은 현. 그녀는 나를 만날 때마다 항상 오천원과 어디서 사왔는지도 모르겠는 이상한 가방을 주었다. 현과 포옹할 때면 그녀가 나의 고모라는 것을 새삼 생각하게 되었다.
2. 신림동 벽산 아파트, 아직도 가는 길이 생생히 기억날 정도의 들어가고 싶지 않았던 그 곳. 현의 집에 들어서면 역한 냄새가 나를 맞이했다. 바닥엔 긴 머리카락들 누런 벽, 끈적한 가구 그리고 곳곳을 지나다니는 바퀴벌레. 나는 행여 그녀가 상처받을까 깨끗한 곳을 몰래 찾았다. 몇 번을 가도 익숙해지지 않는 그 곳은 어렸을 적 나에게 충격이었다. 어느 날 한 번도 관심갖지 않던 현의 방을 우연히 열어본 날. 그 안에는 지금의 현의 것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는 그녀의 젊었을 적 그림 작품들과 스페인어에 관련된 학위와 상장이 걸려있었다. 그 방은 어두웠고 쓸쓸했으며 아름다웠다. 할머니 할아버지한테 항상 들어왔던 “현이는 옛날에 안그랬다”는 이야기를 눈으로 확인 한 날 나는 처음으로 현의 삶이 궁금해졌다. 현의 젊었을 적은 어땠는지 지금 어떤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는 건지. 현과 대화하는 이들은 누구인지 그리고 나를 만날 때마다 주는 오천원과 가방은 어디서 생기는건지.
2018년 12월 곽소민
1. When I think of my father’s younger sister, Hyun, drawings, Spanish, cockroaches and ghosts come to my mind. She has a chubby belly and many freckles on her face. She is gradually losing her long hair from the crown of the head. She resembles grandmother a lot, has a high-toned voice but not talkative, and she always has smile on her face. The only time she speaks out loud is when she is talking to the voices that can only be heard by her. Her eyes out of focus. Words spoken into the air and her smiles. Hyun always made me feel like we are in different places even when she was sitting next to me. Whenever she saw me, she gave me 5000won and a strange bag that I had no idea where she even bought it from. When I hugged Hyun, it made me realized that she was my aunt after all.
2. Shinlim-dong Byucksan apartment- It was a place where I still vividly remember not wanting to go. When I entered Hyun’s place, obnoxious smell greeted me. There were long strains of hair on the floor, stained yellow walls, sticky furniture, and cockroaches moving around. Just in case I might hurt her feelings, I sneaked around to find a clean spot. Regardless of how many times I visited there, I never got used to the place. That place was shocking to me when I was young. One day, I accidently opened Hyun’s room that I was never interested in. There were paintings, writings, certificates and awards related to Spanish from Hyun’s younger days that no one could imagine for them to belong to present day Hyun. The room was dark, lonely and beautiful. On that day, I was able to understand what my grandmother and grandfather always told me- “Hyun wasn’t used to be like that…” This made me curious of Hyun’s life for the first time. How was Hyun in her old days, what kind of world she’s living in now, who are those she’s talking to and where is she getting that 5000 won and bag she always give me.
December 2018 So-min Kwak
19 MIKYUNG IN
1. 둘째가 9살 때 나는 다시 시작한 일 때문에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었다.
어느 날 아이가 학교 발표회 때 ‘나는 할 것이 없다’고 했다.
그때는 엄마들이 나서서 발표회 때 아이들 팀을 만들어서 연습을 시키곤 했다.
팀이 없는 아이들은 선생님이 발표할 것을 정해 주기도 했다.
다른 아이의 엄마들과 친하지도 않은데 갑자기 발표회 때문에 친해지는 것은 힘들었다.
그리고 엄마가 나서서 정해주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다.
아이가 이 일을 어떻게 해결하는지 지켜보기로 결정했다.
담임 선생님은 아이에게 멜로디언으로 동요를 연주하라고 하였다.
아이는 집에서 열심히 멜로디언 연습을 하였다.
발표회 날이다.
학교에 갔다.
댄스복을 입은 아이들의 춤, 태권도복을 입은 아이들의 발표가 이어지고 있었다.
나는 머릿속이 복잡했다.
오늘 아이가 어떤 옷을 입고 갔는지, 너무 수줍어 하지는 않을지, 혼자 하면 초라해 보이지는 않을지…
드디어 사회를 보는 아이가 둘째의 이름을 호명했다.
아이가 멜로디언을 들고 교실의 중앙으로 들어왔다.
아이는 인사를 하고 멜로디언 호스를 입에 물고 천천히 연주하기 시작했다.
나는 아이가 혹시 너무 떨려서 울면 어떻게 하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는 천천히 하지만 집중해서 연주를 하였다.
아이의 주변은 뿌옇게 변하고 나는 아이만 보였다.
연주가 끝났다.
박수를 열심히 쳤던 것 같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첫째와 둘째의 12번의 학예회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었다.
어느 날 오후 전화가 왔다.
핸드폰에 2학년 담임이라는 표시가 떴다.
선생님은 아이가 학교 생활은 잘하는데… 지능에 문제에 있는지 전문적인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했다.
그 말을 듣는 순간 눈물이 쑥하고 나왔다.
나는 그 이야기를 듣고 고민을 했다.
며칠 동안 아이를 세심히 관찰했다.
구구단을 외우지 못하고 단어의 의미를 많이 모르기는 하지만,
내 눈에는 지극히 정상으로 보였다.
학교 공부를 못하는 것 빼고는…
그래서 검사를 안 받기로 했다.
검사를 받는 과정에서 아이가 받을 힘듦과 내가 받을 힘듦이 싫었다.
내 판단을 믿기로 했다.
이후 아이는 바이올린을 배우겠다고 했다.
아이는 두 번 정도 학예회 때 바이올린 연주를 했다.
2. 나는 딸이 둘이다.
아이들이 어릴 때, 너무 힘들어서 한번씩 화가 폭발할 때가 있었다.
짐승 같던 내 모습을 경험하니 이래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아이들과 약속을 하였다.
큰 잘못을 하면 손바닥을 회초리도 딱 2대만 때릴 것이다.
그 당시 어떤 종류의 잘못이 큰 잘못이었는지는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만약 엄마가 손바닥을 2대 이상 때리려고 하면, 그때는 엄마에게 대들어도 된다고 몇 번을 강조해서 아이들에게 말했다.
그리고 놀이터에서 회초리로 쓸 나뭇가지를 아이들과 찾으러 다녔다.
주운 나뭇가지의 튀어나온 부분은 칼로 다듬었다.
그렇게 만든 회초리를 냉장고 위에 올려놓았다.
잘못을 하지 말라는 일종의 경고였다.
첫째가 9살 때 회초리를 맞을 일이 생겼다.
그 일이 어떤 잘못이었는지도 역시나,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 않는다.
화가 너무 나서 2대를 때리겠다고 하면서 냉장고 위의 회초리를 들었는데.
아이가 나를 똑바로 쳐다보면서 ‘내 몸을 때리지 말라’고 했다.
나는 아이의 반항에 당황했지만 잘못을 하면 2대를 맞기로 했으니 맞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이는 맞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더 화가 나서 회초리로 때리는 대신 집밖으로 내쫓았다.
아이는 내가 왜 집을 나가야 하냐며 문을 발로 차고 고함을 치고 소란스럽게 했다.
다시 집으로 들어온 아이에게 다른 벌이라도 받아야 한다고 했다.
엄마는 지금 너랑 같이 있고 싶지 않으니 어디로 가겠느냐 물었다.
아이는 베란다로 가겠다고 했다.
그때가 지금처럼 추운 겨울이었다.
당시에 베란다에는 겨울 잠바를 걸어 둔 행거가 있었기 때문에 추우면 그 옷을 입겠지 하고 베란다로 내보냈다.
1시간이 훨씬 지났다.
둘째에게 언니를 데려오라고 했다.
잠바를 입지 않고 내복을 입은 채로 첫째가 다가왔다.
춥지 않느냐 물으니, 자기는 춥지 않아서 잠바를 입지 않고 있었다고 했다.
그 순간 그 아이의 분노가 느껴졌다.
얼마나 화가 났으면 이 추운 날 옷을 입을 생각조차도 하지 않았을까.
아무 이야기도 하지 않고 ‘엄마가 무조건 미안하다’고 말했다.
그리고 앞으로 너가 어떤 잘못을 해도 매를 드는 일은 없을 거라고 했다.
두 아이가 보는 앞에서 회초리를 부러뜨렸다.
그날 이후에 매를 드는 일은 없어졌다.
2018년 12월 이미경
1. When my second daughter was 9 years-old, I was busy because of the work that I have started again.
One day, she told me, “I have nothing to do for the school performance day.”
Back in the days, the mothers took care of their kids’ performance by assigning them into different groups and making them practice.
Sometimes, the teacher assigned what to do for the play to the kids with no assigned groups.
I wasn’t close with the other mothers that it was hard to become friendly with them just because of this event.
Also, I thought it is meaningless if I made the choices for my kid.
I decided to wait and see how my daughter deals with this issue.
Her teacher suggested her to play a children’s song with a kid’s melodeon.
She practiced hard at home.
It was the performance day.
I went to the school.
Other kids in dance costumes, taekwondo uniforms and such were showing off their performances.
My head was filled with swarming thoughts.
Thoughts of what my kid wore to school today, what if she’s going to be too shy, or what if she looks so trivial doing a solo.
Finally, the host called out my daughter’s name.
She came into the center with her melodeon.
She took a bow and slowly started to play by blowing on the hose.
I thought, what if she cries because she is too nervous?
Slowly but with complete concentration, she started to play the melodeon.
What was surrounding my daughter became hazy and the only thing I could see was her.
She finished the performance.
I think I clapped hard.
It wasn’t fancy, but it was the most memorable moment among all of my two daughters’ school performances.
One afternoon, the phone rang.
My cell phone caller ID showed that it was the 2
nd year homeroom teacher.
The teacher told me, although my daughter was doing fine at school, she thinks it might be a good idea to let my daughter take the intelligence test.
I burst into tears when I heard this.
After the call, I thought about this a lot.
I observed my daughter carefully for a few days.
She was having trouble learning the multiplication table and understanding meanings of some words, but she looked totally normal to me.
Well, except her school grades were low.
So, I decided to not to take the test.
I did not want my daughter and myself to experience all the awkwardness during the process.
I trusted my decision.
Later, she told me she wants to learn a violin.
She played the violin about twice for the school performance.
2. I have two daughters.
When they were really young, I would lose it with the kids because taking care of them was overwhelming from time to time.
After experiencing my beast inside, I thought this had to stop.
So, I made a promise to my kids.
If they do something really bad, I will punish them by hitting their palms only twice with a wooden stick.
I don’t quite clearly remember what defined “really bad behavior.”
However, I repeatedly emphasized the fact that they can stand up for themselves if I ever try to hit their palms more than twice.
Then, we went outside to the playground to find a tree branch to be used.
I smoothened the pointy parts of the branch that was picked.
Then, I placed the stick on the top of the refrigerator.
It was a kind of warning not to misbehave.
When the first child was nine-years-old, there once was a day when she needed to be punished.
Again, I do not clearly remember what she exactly did wrong.
I was so angry, so I told her I will hit your palm twice, and grabbed the stick on the fridge.
She stared at me and said ‘DO NOT TOUCH ME.’
I was stunned by her reaction, but I told her that she had to be punished because that was the rule.
She argued that I should not hit her.
I had got angrier, so kicked her out of the house.
She kicked the door and made noises screaming out, ‘Why do I have to be kicked out!’
When she came back into the house, I told her that she needs to be punished in one way or another.
I asked her where she wants to go because I, the mother, do not want to be with her.
She said she will go to the veranda.
Just like now, it was a cold winter day.
There was a winter coat hung on a hanger in the veranda that I sent my daughter to the veranda thinking that if she feels cold, she would put on that coat.
Much longer than an hour had passed.
I asked the younger daughter to bring her sister back inside.
The older daughter came to me with only wearing her panties without the outer.
At that moment, I felt her rage.
I wondered how angry she would have been to not wear the coat in such cold weather.
Without saying anything else, I told her “I am really sorry no matter what, and I will never punish you by hitting you with the stick even if you misbehave.”
I broke the stick in front of my two daughters.
After that day, I never laid hands on my kids.
December 2018 Mi-kyung Lee
20 TU IN
그녀의 이름은 투이, 물이라는 뜻이다.
그녀는 뚱뚱하지도 날씬하지도 않고, 키가 크지도 작지도 않다.
그녀는 다양한 색깔의 웃긴 겉옷을 입는 것을 좋아한다.
그녀는 커다란 안경을 쓰며 구불구불한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치아교정기를 꼈지만 항상 큰 미소를 짓는다.
그녀는 선생님이고, 아이들이 삶을 살아가게 가르치며 아이들은 그녀를 사랑한다.
그녀는 오빠를 잃었고 사람들은 그의 죽음에 대해 그녀를 비난한다. 그것은 오래 전의 일이었고 여전히 그녀는 고통받고 있다. 그럼에도 항상 자신을 치유할 방법을 찾고 다른 사람들에게 따뜻한 에너지를 준다.
2018년 12월 Pham Minh Tu
Tên chị ấy là Thủy, nghĩa là nước.
Chị ấy không béo cũng không gầy, không cao cũng không thấp.
Chị ấy thích mặc quần áo vui mắt và màu sắc.
Chị ấy đeo một cái kính to và mái tóc xoăn.
Chị ấy niềng răng nhưng luôn cười rộng hết cỡ.
Chị ấy là một cô giáo, dạy trẻ em về kỹ năng sống. Lũ trẻ yêu chị ấy.
Chị ấy có một người em trai đã mất. Mọi người đổ lỗi lên chị ấy. Chuyện đã rất lâu nhưng chị vẫn chịu nhiều tổn thương vì nó. Nhưng một cách nào đó,
chị luôn tìm cách để chữa lành cho chính mình và trao năng lượng ấm áp cho mọi người.
Tháng 12 năm 2018, Pham Minh Tu
Her name ‘Tui.’ It means water.
She is neither fat nor skinny. She is neither tall nor short.
She likes wearing different colored peculiar outer garments.
She wears big glasses, and has curly hair.
She has braces but always put on a big smile.
She is a teacher and teaches the kids to live happily. The kids love her.
She lost her brother, and people blamed her for his death.
It was a long time ago, but she still suffers.
Then again, she always finds a way to heal, and shares a positive energy to others.
December 2018 Pham Minh Tu
21 HYOMIN IN
너의 생일이 19시간 정도 지나있었다. 볼이 시릴만큼 대기는 한랭했고 나는 다홍색 목도리를 둘렀다. 내 오른쪽 손에는 선물이 담긴 봉투가 들려있었고, 습관처럼 지인이 없는 공간을 찾아 만나러 가고 있었다. 놀랍게도 내 집과 네 집의 중간이었다. 그곳에는 커다랗고 음산한 나무가 한 그루 심어져 있었고 너와 나는 살짝의 거리를 두고 그 주변 벤치에 앉아있다. 너는 머리가 참 붉었고 동공만이 보이게 마스크를 끼고 있었다. 너는 네 이름으로 알아차려지기 싫다고 말했으니까.
내 인생에 자신은 필요없다고 너가 뱉어 댄다. 마스크에 음성이 섞여 잘 들리지 않는다, 늘 그랬듯이. 나는 숱한 글들을 너에게 주고 있다. 너무 오래됐다 모든 것이. 나는 유일하게 너가 태어나줘서 고맙다고 말한다.
며칠 후면 내 생일이다.
2019년 1월 김효민
19 hours passed since your birthday. The air was so cold that my cheeks were freezing. I was wearing a scarlet muffler. I was holding a bag with a present inside in my right hand, and like a habit, I was on my way to find a place without any of my acquaintances. Surprisingly, the place was halfway between my house and your house. There was a big dismal tree, we sat on the bench at a short distance from each other. You had pretty bright red hair and were wearing a mask that it only showed your pupils. Because you said you didn’t want to be recognized by your name.
You told I don’t need you in my life. I couldn’t hear your voice because of your mask as always. I was handing you a plenty of letters. All this has been a long time. The only thing I tell you is, “Thank you for being born.”
In few days, it’s my birthday.
January 2019 Hyo-min Kim
22 ANH IN
엄마의 키는 152cm이다. 그녀는 굉장히 날씬하고 외소해서 원래 나이보다 젊어보인다. 치마를 입기 좋아하지만 하이힐은 절대 신지 않는다. 왜냐면 그녀가 지역신문 편집장으로 일하는 사무실에서 매일 부서에서 저 부서로 많이 걸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녀는 그녀의 유일한 딸이 멀리 살기 때문인지 키우는 고양이 한 마리와 치와와 두 마리를 ‘내 아이들’이라고 부른다. 그녀는 너무나 작아 그녀의 가방에 들어가는 작은 개를 어디든 데리고 다닌다.
고기보다는 야채를 좋아하면서도 가족을 위해서 다양하게 요리하길 즐긴다. 흰밥에 피쉬소스를 뿌린 음식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인데, 마뿌리에 소금을 뿌려먹는게 다였던 그녀의 어린시절엔 쌀이 귀했기 때문이다. 그녀가 늦게까지 일할 땐, 보통 사무실 근처에 있는 길거리 노점의 치킨 누들 스프를 먹는다. 20년간 같은 치킨 누들 스프를.
2018년 12월 Le Quynh Anh
Mẹ tôi cao 1m52. Trông mẹ trẻ hơn tuổi vì mẹ siêu gầy và nhỏ người. Mẹ thích mặc váy dài đến đầu gối, không bao giờ đi giày cao gót vì công việc của mẹ là biên tập viên ở tòa soạn báo, ngày nào mẹ cũng phải đi từ phòng này sang ban khác ở văn phòng. Mẹ có một con mèo và hai con chó phốc, bọn nó như con của mẹ vì con gái duy nhất của mẹ đã ở xa mẹ lâu rồi. Mẹ hay mang con chó nhỏ đi vì nó bé tí cho vừa vào túi mẹ. Mẹ thích ăn rau hơn ăn thịt. Mặc dù mẹ thích nấu nhiều đồ ăn cho cả nhà nhưng mẹ chỉ thích ăn cơm với nước mắm thôi. Vì mẹ bảo hồi mẹ còn bé gạo siêu đắt, đến bữa chỉ được ăn toàn củ sắn chấm muối. Mỗi lần phải làm việc muộn ở cơ quan mẹ lại đi ăn miến gà ở quán gần đó. Vẫn món miến gà đó, ở quán đó, cứ như vậy hơn hai mươi năm rồi.
Tháng 12 năm 2018 Le Quynh Anh
My mother’s height is 152cm. She is really slim and little, so she looks younger than her age. She likes to wear a skirt but never wears high-heels because she has to move to one area to another in her office where she works as an editor of local newspaper. Maybe it’s because her only daughter lives far away from her. She calls her cat, and two Chihuahuas, ‘My Children’. She is always with her dog which is small enough to get into her bag. She prefers vegetables over meat, but she cooks various things for her family. Her favorite food is white rice with fish sauce because rice was so precious when she was young where she only had salted yam roots to eat. Whenever she had to work very late, she has a cheap chicken noodle soup from a street vendor near her office. The same chicken noodle soup for 20 years…
December 2018 Le Quynh Anh
23 ARA IN
송정자 1933년 6월 1일생
남편 고 방태진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다.
전라남도 곡성에서 남부럽지 않게 살다가 땅을 팔고 서울 딸의 집으로 들어와 몇년 동안 딸의 삼남매를 키우고 집안 일을 도맡아 했다.
백육십이 되지 않는 키에, 고도비만, 둥글넙쩍한 얼굴, 쌍꺼풀이 없는 눈을 가졌다. 노년에 쌍꺼풀 수술을 했지만, 눈꺼풀이 다시 쳐졌다. 지방흡입을 했지만, 다시 예전 몸으로 돌아왔다.
젊었을 때 손수 옷을 지어 입기도 하고, 손주들의 옷을 만들어 주기도 했지만, 그것도 다 옛일이다.
손맛은 없다. 음식은 짜거나, 맵거나, 싱겁다.
딸의 집에 살면서 신세 한탄이 점점 늘어갔다.
딸이 사위의 뒷바라지를 하면서 겪는, 차마 남들에게 다 말할 수 없는 일들을 지켜보면서 분통이 터질 것 같은 미움과 화가 치밀었다.
입에서 욕이 끊이질 않는다. 구시렁 구시렁 욕하기, 소리지르며 욕하기, 따발총처럼 욕하기…. 끊임없이 욕을 한다.
막내 손자는 늘 끼고 살면서도, 사위를 많이 닮은 큰 손녀는 늘 화풀이의 대상이다.
밤에 자려고 누울 때면, 이미자의 ‘여자의 일생’이란 노래를 즐겨 부른다.
2018년 12월 조아라
Song Chong Cha sinh năm 1933 ngày 1 tháng 6
Chồng mất BingThe Chin
Bà sinh 1 Trai1 gái
Bà sống Chơn La Nam Đô Coc sơn sau đó bán đất lên seul ơ cùng con gái bà nuôi nấng các cháu và làm việc nhà
Chiều cao của bà chưa tới 1m 60, bà rất mập, bà có khuôn mặt tròn trịa, mắt không có mí, về già bà có đi phẫu thuật mí một lần, nhưng lại bị sụp mí tiếp, bà đi hút mỡ, cơ thể cũng trở lại vị trí như đầu.
Khi bà còn trẻ bà tự mình mai áo cho mình và các cháu nhưng chuyện đó lâu lắm rồi.
Không giỏi nấu ăn, mặn, cay và lạc
Sống ơ nhà con gái bà thường than thở
Con gái quá hết mình với chồng, bà nhìn thấy mỗi ngày bà không giám kể cho ai ghét và sự phẫn nộ bắt đầu
Miệng bà không ngừng chửi, cau nhàu chửi, la lớn chửi, như súng tiểu liên chửi..
Chửi không bao giờ ngừng miệng.
Bà thường kê theo thằng cháu ut. Bà rất ghét đứa cháu gái lớn bởi nó giống thằng rể, nó đại diện cho những lần bà chút giận.
Tối mỗi khi nằm ngủ, ca sĩ 이미자 ” Cuộc đời phụ nữ ” bà thường hay hát bài này.
Tháng 12 năm 2018, Jo Ara
Jung-ja Song.
Born on June 1, 1933.
Husband, the late Tae-jin Bing.
Had a boy and a girl.
She lived in Gokseong Jeollanam-do, sold the property and moved to her daughter’s place in Seoul. She raised three kids of her daughter and did all the house work.
Less than 160cm height, overweight, round and flat face shape with no double eyelids.
She had a surgery for double eyelids, but her eyelids became droopy again.
Had liposuction, but went back to her overweighed body.
When she was younger, she had made clothes for herself, and for her grandchildren. But it’s now all in the old days.
She is not good at cooking, her food is either too salty, too spicy, or too bland.
As she was staying in her daughter’s place, she dwelled more on her own misfortune.
While she was watching what her daughter had to face supporting her husband, she (Jung-ja Song) was filled with anger.
She cannot stop mouthing swear words. Murmurs swearing words. She swears while shouting, swearing as if she was rapping… she swears nonstop.
She always adores her grandson but her granddaughter who resembles her son-in-law is someone to take her anger out.
She often sings ‘Life of Women’ by Mi-Ja Lee in her bed.
December 2018 Ara Jo
기억하는 사물들 2016 – 기억과 인권센터 (구 해군사관학교), 부에노스 아이레스
Things that Remember 2016 – Remembrance and Human Rights Center (Ex Naval School of Mechanics), Buenos Aires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위치한 구 해군사관학교(Ex ESMA)는 1924년 법령에 따라 해군에 위임하여 군사 훈련 센터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1976년에서 1983년까지 군부독재 시절 마지막 독재의 가장 크고 은밀한 구금, 고문 및 학살의 장소 중 하나로 이용되었다. 2004년 국가와 부에노스아이레스시는 협정을 체결하여 ‘기억과 인권센터’로 복구하였고, 현재는 ‘오월어머니회’와 ‘오월할머니회’와 더불어 많은 인권 단체들이 상주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각각의 건물은 상주단체가 자치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Ex ESMA 전체 공간과 관련된 안건들은 이들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에서 논의하고 결정하는 방식으로 운영 중이다.
In 1924, the former ESMA in Buenos Aires was established as an educational facility of the Argentine Navy by decree. However, during the military dictatorship (1976~1983), the site operated as a clandestine center of torture, detention and extermination. In 2004,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City of Buenos Aires signed a memorandum of agreement and restored it as Space for Memory and for the Promotion and Defense of Human Rights. Several human rights associations including the Mothers of the Plaza de Mayo and the Grandmothers of the Plaza de Mayo are now based there—each autonomously managing its own building. The entire site of the former ESMA and related agendas are addressed by their steering committee.
세부정보 Details
국가 : 아르헨티나
도시 : 부에노스 아이레스
장소(과거) : 해군사관학교
장소(현재) : 기억과 인권 센터
공연 날짜 : 2016. 10. 28/30
공연 시간 : 금, 일 20:00, 22:00
회차 : 총 4회
공개 리허설 : 2016. 10. 27(목) 22:00
리서치 : 2016. 7. 3-16 (2주)
제작 일정 : 총 29일
– 2016.10.6-9 : 장소 답사/현지팀 미팅
– 2016.10.10-16 : 워크숍/설치팀 입국
– 2016.10.17-23 : 설치/사운드 제작/오브제 구입/촬영/현장 리허설
– 2016.10.24-30 : 최종 리허설 및 공연
– 2016.10.31-11.3 : 피드백 회의/철수/출국
회당 관객수 : 20명
장소 내 설치공간 : 15 공간
QR 형태 : 사진, 영상
QR 수 : 15
나레이션 수 : 18
설치 사운드 여부 : X
러닝타임 : 70분
참여인원 : 총 35명
Country : Argentina
City : Buenos Aires
Former Venue : Escuela de Mecanica de la Armada
Current Venue : Espacio Memoria y Derechos Humanos
Performance Date : October 28 and 30, 2016
Performance Time : Friday, Sunday 20:00, 22:00
Number of Performances : 4
Open rehearsal : Thursday, October 27, 2016 (22:00)
Pre-Research : July 3-16, 2016 (2 weeks)
Production Schedule : Total production duration 29 days
– October 6-9, 2016 : site visit/local staff meeting
– October 10-16, 2016 : workshop/ arrival installation team
– October 17-23, 2016 : installation/sound production/ props buying/video shooting/location rehearsal
– October 24-30, 2016 : final rehearsal & performance
– October 31 – Nov 3, 2016 : feedback meeting/wrap-up
Number of Audience Per Performance : 20
Installation Spaces at The Venue : 15 Spots
Format of QR : Photo and Video
Number of QR : 15
Number of Narration : 18
Sound Installation : X
Performance Duration : 70 min
Number of Participant : Total 35


연출・미술 김경희 프로듀싱 박지선 박희경 프로덕션 매니지먼트 김민경 사운드 윤제호 촬영 최용석 액팅 코칭 윤진성 리서치・드라마투르기 이미경 장치 제작・현장 설치 총괄 송기선 장치 도면 최수연 장치 미니어쳐 서은진 장치 진행 김민수 출연・장치 진행 보조 박용호 출연・조연출 강민지 번역 김다은 출연 Danza 8인 (Camila Almeida ・ Marina Andreotti ・ Merlina Molina Castano ・ Laura Iglesias ・ Maria Juliana Oubel Gonzales ・ Gabriela Sofia Britos ・ Magdalena Ciucci ・ Candela Ciamarellano) / Circo 4인 (Juan Rossi ・ Walter Siandra ・ Diego Santana ・ Manuel Perea) / Titeres 2인 (Iara Sarmiento ・ Eduardo Avendano) 제작 창작그룹 노니 제작 협력 우란문화재단 / UNSAM / Espacio Memoria y Derechos Humanos (Ex Esma)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예술경영지원센터 / 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현지 통역 Viviana Botti Barnett / 조은아 현지 프로덕션 Marina Pampin / Gonzalo Bao (UNSAM) 현지 프로덕션 지원 김경희 / Gabriel Pressello (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나레이션 Narration
0
Information
This performance will take place all around el Espacio Memoria y Derechos Humanos
It´s a site-specific performance
This performance is inspired and created by the memory of this place and the performers’ own memories
The headphones are already set
If you have any problem, please raise your hand and call the staff
This performance consists of photos and images which are in QR code
Please prepare your cell phone
Download QR application and test it before leaving
Now we start “Things that remember”
Please, close your eyes
Follow the leading hand slowly
When you stop and somebody touches your back, please open your eyes
If you see the QR code, click it and watch the images
Enjoy yourself
Información
Esta performance se desarrollará por todo el Espacio Memoria y Derechos Humanos
Es una performance diseñada específicamente para este espacio
Esta performance se inspiró y se creó basada en la memoria de este lugar y de los performers
Los auriculares ya están listos
Si tuviera algún problema, por favor levante la mano y llame al personal
Esta performance consiste en fotos e imágenes que están en el código QR
Por favor, tenga su celular preparado
Baje la aplicación QR y chequeela antes de comenzar
Aquí comienza “Cosas que recuerdan”
Por favor, cierre sus ojos
Déjese llevar lentamente por la mano que lo guía
Cuando pare y sienta una mano en la espalda, por favor, abra los ojos
Cuando ve el código QR, haga click sobre él y mire las imágenes
Disfrute
03 마리나 Marina
우산을 들고 아버지를 기다린다.
Estoy esperando a mi papa mientras sostengo mi paraguas.
05 왈리 Wally
학교로 그들이 찾아왔다.
Vienen a buscar en el colegio.
07 후안 Juan
문이 열리면 비밀이 폭로된다.
Cuando se abre la puerta, se revela el secreto.
09 에두아르도 Eduardo
한 번의 뜸으로 인생에 구멍을 낸다.
Mi vida se transforma en un gran agujero, con una sola puntada.
12 메를리나 Merlina
우리는 만나기 위해서 암호를 사용한다.
Usamos el código secreto para encontrarnos.
13 훌리아나 Juliana
동료들의 소리가(소식이) 전화기를 흔들었다.
Noticias inesperadas sacuden mi teléfono.
15 가비 Gabi
차는 크르릉거리고 그녀는 떨었고 나는 들을 수 없다.
El auto gruñe. Tiembla y no puedo oir.
17 카밀라 Camila
잊혀진 자들의 자리
Este lugar es para gente olvidada.
19 칸델라 Candela
밤이고 추웠다. 숨을 곳이 필요하다.
Era de noche y hacía frío.
21 마기 Magui
문을 잠그고 문밖의 소리를 듣는다.
Cerré la puerta y escuché detrás de ella.
22 디에고 Diego
저녁 식사 자리의 공기는 의견 대립으로 팽팽하다.
El olor a comida desapareció, la voz es fuerte.
26 마누엘 Manuel
그가 나를 지켜본다. 내 몸은 움직임 없이 떨린다.
Me mira fijamente. Mi cuerpo se estremece sin moverse.
28 용호 Yongho
더 이상은…
Nunca más… (No more…)
30 이아라 Iara
여기에 없는 누군가의 침묵과 속삭임에 칼 같은 두통을 느낀다.
Siento Puntadas en mi cabeza que surgen del silencio y el susurro de alguien que no existe.
32 민지 Minji
거센 바람이 분다. 누군가의 손을 잡고 싶다.
El viento sopla fuerte y quiero sostener tu mano.
36 라우라 Laura
나는 네가 되고 너는 내가 된다. 늦든 빠르든 반드시, 언젠가는.
Me convierto en vos, vos te convertís en mi. Tarde o temprano sucederá, sucederá.
00
Now the performance is over
Please go back to the starting point and return your headphones
Thank you very much
Aquí termina la performance
Por favor, vuelva al punto de partida y devuelva sus auriculares
Muchas gracias
기억하는 사물들 2016 – 롱비엔역, 하노이
Things that Remember 2016 – Long Bien Station, Hanoi
베트남 하노이의 ‘롱비엔역’은 롱비엔 다리의 기차역으로 1902년 하이퐁선의 개통과 함께 개업하였으며, 현재까지 북부와 동부 노선을 중심으로 운행하고 있다. 롱비엔 다리는 프랑스 식민지 시절 다이데 & 필(Dayde et Pille) 사가 1899년 착공하여 1902년 완공한 철교이다. 베트남 전쟁 당시 외관이 일부 파손되었음에도 100년이 넘는 긴 세월 동안 홍(Hong) 강 양쪽을 이어왔으며 수도 하노이 교통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롱비엔역’ 근처에는 온갖 공산품을 파는 ‘동쑤언 시장’과 신선한 야채와 과일을 사고팔기 위한 ‘롱비엔 시장’이 있는데, 새벽부터 많은 사람들과 오토바이, 짐을 포장한 박스들로 항상 북적이는 곳이다. ‘롱비엔역’은 현재까지 기차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재래시장의 치열한 노동 현장과 현지인들의 평범한 일상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공간이다. 하노이시는 역사적 유물이자 세계 건축 기념비인 롱비엔 다리를 유지한다는 방침을 정한 상태이다.
Long Biên Station is a railway station in Hanoi, Vietnam, on Long Biên Bridge. The station, which came into operation with the opening of the Hai Phong Line in 1902, serves destinations to the North and East to this day. Long Biên Bridge was built in 1899~1902 by the architects Daydé & Pillé of Paris during the French colonial era. Although the railroad bridge was partially destroyed during the Vietnam War, it has been connecting the two sides of the Red River for over 100 years, thereby playing a key role in Hanoi’s traffic. There are two traditional markets nearby: Dong Xuan Market selling industrial goods and Long Bien Market selling fresh fruits and vegetables. From dawn, the area becomes crowded with people, motorcycles and boxes of packaged goods. Still in service, Long Biên Station is a site of fierce labor and everyday life of the locals. The City of Hanoi has decided to maintain the historic Long Biên Bridge as a global architectural monument.
세부정보 Details
국가 : 베트남
도시 : 하노이
장소(과거) : 롱비엔 역
장소(현재) : 롱비엔 역
공연 날짜 : 2016. 4. 15-16
공연 시간 : 금, 토 18:20
회차 : 총 2회
공개 리허설 : 2016. 04. 14(목) 18:20
리서치 : 2016. 1. 21-2. 4 (2주)
제작 일정 : 총 26일
– 2016.3.23-27 : 워크숍팀 입국/장소 미팅
– 2016.3.28-4.3 : 창작팀 입국/ 워크숍 오디션
– 2016.4.4-10 : 포럼팀 입국/사운드 제작/오브제 구입/촬영/현장 리허설
– 2016.4.11-17 : 최종 리허설 및 공연/ 철수/출국
회당 관객수 : 20명
장소 내 설치공간 : 13 공간
QR 형태 : 영상
QR 수 : 5
나레이션 수 : 18
설치 사운드 여부 : X
러닝타임 : 45분 30초
참여인원 : 총 33명
Country : Vietnam
City : Hanoi
Former Venue : Long Bien Station
Current Venue : Long Bien Station
Performance Date : April 15-16, 2016
Performance Time : Friday, Saturday 18:20
Number of Performances : 2
Open rehearsal : Thursday, April 14, 2016 (18:20)
Pre-Research : January 21-February 4, 2016 (2 weeks)
Production Schedule : Total production duration 26 days
– March 23-27, 2016 : arrival workshop team/site visit/local staff meeting
– March 28-April 3, 2016 : arrival performing team/workshop audition
– April 4-10, 2016 : arrival forum team/ sound production/props buying/video shooting/location rehearsal
– April 11-17, 2016 : final rehearsal & performance/wrap-up
Number of Audience Per Performance : 20
Installation Spaces at The Venue : 13 Spots
Format of QR : Video
Number of QR : 5
Number of Narration : 18
Sound Installation : X
Performance Duration : 45 min 30 sec
Number of Participant : Total 33


연출・미술 김경희 조연출 강민지 프로덕션 매니지먼트 김민경 사운드 윤제호 촬영 최용석 액팅 코칭 윤진성 리서치・드라마투르기 이미경 포럼 박지선 (프로듀서) 엄현희 (평론가) QR영상 Doclab 스튜디오 6인 (Le Xuan Tien ・ Ngo Thi Thanh ・ Nguyen Tien Dat ・ Le Quynh Anh ・ Nguyen Minh Tung ・ Do Ha Thu) 출연 키너지 스튜디오 5인 (Le Anh Tu ・ Nguyen Linh Chi ・ Duong Doan Anh Minh ・ Vu Thi Thu Huong ・ Pham Minh Tu) 국립공연영화학교 4인 (Nung Van Minh ・ Pham Minh Trang ・ Hoang Kieu Chinh ・ Trinh Thanh Nam) 파쿠르 4인 (Le Duc Minh ・ Nguyen Hoang Long ・ Pham The Thien ・ Nguyen Tien Khoa) 제작 창작그룹 노니 제작 협력 우란문화재단 후원 예술경영지원센터 / 베트남 한국문화원 현지 통역 Nguyễn Nam Chi ・ Nguyễn Thị Minh Thu ・ Võ Thị Huyền Trang 현지 코디네이션 김보령(베트남 한국문화원) 포럼・라운드 테이블 프로그래밍 편형미(프리랜서 큐레이터)
나레이션 Narration
0
온오프 버튼은 좌측 뒤쪽에 위치하도록 착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우측 뒤쪽에는 다이얼이 두개가 있습니다.
상단에는 볼륨 다이얼, 하단에는 주파수 다이얼이 있습니다.
주파수 다이얼과 좌측 후면의 온오프 버튼은 손대지 말아주십시오.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문제가 발생할 시 손을 들어 스탭을 찾아주십시오.
볼륨 다이얼을 본인들에게 맞도록 지금 조절하시기 바랍니다.
QR code 앱을 본인의 핸드폰에 다운 받은 후 테스트 해주시기 바랍니다.
공연 중에 QR code 마크를 휴대폰으로 찍으시고 재생되는 영상을 보시기 바랍니다.
01
시간이 되었습니다.
일어나서 출발하도록 하겠습니다.
01-1
좌측 끝 플랫폼으로 연결된 문으로 들어가 주시기 바랍니다.
02
기차길을 가로질러 계단으로 내려가 주시기 바랍니다.
03
좌측 시장골목으로 들어서 주시기 바랍니다.
04
좌측 아치를 지나 골목으로 들어서 주시기 바랍니다.
05
좌측 계단으로 올라가 주시기 바랍니다.
06
QR code number one
08
플랫폼으로 들어가 주시기 바랍니다.
기차길 위로 올라가 좌측으로 걸어주시기 바랍니다.
10
QR code number two
11
기차길 위로 올라가 가던 방향으로 계속 걸어주시기 바랍니다.
12
QR code number three
13
왔던 방향으로 되돌아 걸어주시기 바랍니다.
14
QR code number four
15
우측 문으로 들어가 좌측을 봅니다.
16
QR code number five
17
대합실 안으로 들어갑니다.
00
대합실을 나갑니다.
시간이 되었습니다.
무사히 도착하였습니다.
관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헤드셋을 반납해주시기 바랍니다.
기억하는 사물들 2015 –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구 구의취수장), 서울
Things that Remember 2015 – Seoul Street Arts Creation Center (Ex Guui Intake Station), Seoul
‘광장취수장’은 ‘구의취수장’의 전신으로 일제강점기 시기인 1941년에 최초로 취수를 시작했으며, 1951년 1·4후퇴 후 서울 수복 시에 취수장의 약 30%의 시설이 파괴되었고, 보수작업을 거쳐 1952년에 복구되었다. 1984년 제4정수장이 신설되면서 기존 취수장의 노후한 시설은 하나의 시설로 통합하고, 비교적 상태가 양호한 제3취수장만 그대로 사용하기로 결정하면서 이것을 제1취수장으로 부르고, 신설된 취수장은 제2취수장으로 불렀다. 이로써 1941년에 건설된 ‘광장취수장’은 1984년에 폐쇄, 1993년에는 시설물이 철거되었다. 이후 ‘구의취수장’은 2010년 운행이 중단될 때까지 한강에서 원수를 끌어들여 정수장으로 보내는 역할을 해왔다. 2014년 리모델링 공사를 거쳐 2015년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로 개관, 거리예술과 서커스 분야의 작품 제작을 지원하고 국내외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해당 분야의 전문가를 육성하고 있으며, 예술교육 및 레지던시를 운영 중이다.
Gwangjang Intake Station, the predecessor of Gueui Intake Station, began operating in 1941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e January-Fourth Retreat in 1951, about 30% of Seoul’s intake stations were destroyed. They were then restored by 1952. With the opening of the 4th Purification Plant in 1984, the decrepit facilities of the existing intake stations were merged into one. Only the 3rd Intake Station in relatively good condition remained in use, which then came to be known as the 1st Intake Station. Another newly built intake station was named the 2nd Intake Station. Constructed in 1941, Gwangjang Intake Station was closed in 1984, and its facilities were demolished in 1993. Until 2010, Gueui Intake Station pulled raw water from the Han River and pumped it to purification plants. It underwent remodeling in 2014, and then opened as Seoul Street Arts Creation Center in 2015. The center provides support for street arts and circus productions, fosters experts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runs education and residency programs.
세부정보 Details
국가 : 대한민국
도시 : 서울
장소(과거) : 구의취수장
장소(현재) :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공연 날짜 : 2015. 10. 7-8
공연 시간 : 수, 목 20:00
회차 : 총 2회
공개 리허설 : 2015. 10. 6(화) 20:00
리서치 : 기록 없음
제작 일정 : 기록 없음
회당 관객수 : 20명
장소 내 설치공간 : 18 공간
QR 형태 : 영상
QR 수 : 7
나레이션 수 : 18
설치 사운드 여부 : X
러닝타임 : 40분 39초
참여인원 : 총 17명
Country : South Korea
City : Seoul
Former Venue : Guui Intake Station
Current Venue : Seoul Street Arts Creation Center
Performance Date : October 7-8, 2015
Performance Time : Wednesday, Thursday 20:00
Number of Performances : 2
Open rehearsal : Tuesday, October 6, 2015 (20:00)
Pre-Research : No record
Production Schedule : No record
Number of Audience Per Performance : 20
Installation Spaces at The Venue : 18 Spots
Format of QR : Video
Number of QR : 7
Number of Narration : 18
Sound Installation : X
Performance Duration : 40 min 39 sec
Number of Participant : Total 17


연출・미술 김경희 프로듀싱 박지선 박희경 사운드 윤제호 사진 최용석 QR영상 최성문 김경희 드라마투르기・액팅 코칭・출연 윤진성 출연 박용호・강민지・최성문・양원철・김내영・박정호 김재범・엄대현・김소연(QR영상출연)・최호(QR영상출연)・최라아(QR영상출연) 장치 제작 송기선 장치 도면 최수연 장치 미니어쳐 서은진 제작 창작그룹 노니 제작 협력 우란문화재단 후원 서울문화재단 /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나레이션 Narration
0
공연관람 전 안내말씀 드립니다.
다 함께 QR코드 앱을 다운로드 해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사용이 불가하신 분은 wifi_안드로이드핫스팟3566을 사용해주세요. 010XXXXXXXX
나눠드린 헤드폰을 착용하시기 전 몇 가지 안내사항 드립니다.
기본적으로 채널은 맞춰져 있습니다.
테스트하는 시간을 가질 때 찰칵 소리가 나지 않으시는 분은 튜닝휠을 살짝 돌려 채널을 맞춰주세요.
본 공연엔 높은 계단과 플래시가 터지는 부분이 있으니 유의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당부 드리고 싶은 말은
기술적 오류가 나는 부분은 기다려주시면 최대한 신속히 해결할 예정이니 기다려주시고, 양해해 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자, 다 함께 헤드폰을 착용하겠습니다.
Attention please,
Thank you for coming to our show,
before we start, i have some notice to tell.
First, you need to download QR code application to enjoy the show.
If you are not available to use the internet, use the wifi androidhotspot3566 / 010XXXXXXXX
Second, there are some notices for the headphones.
We tuned the channel already, but it could be moved to other frequency. Please move the tuning wheels very slowly and find the camera sound.
And since we have some high stairs and flash lights in the show, maybe you could have some problems with these. Please be careful with this.
Please put on your headphone.
01 경비실 앞
당신은 지금 여기 머물 것인가. 움직일 것인가.
Will you remain here? Will you move on?
02 옥상
당신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Where are you at this moment?
03 2층 첫 방
남겨진 것들/ 모두 어디로 갔을까. 버려진 공간에 물건들은 움직이지 않는다. 어느 날 새가 날아 왔고 나가지 못했다. 그 사건으로 공간은 변했다. 새가 공간을 바꾼 것이다. 공간은 살아 있다. 버려졌다 해도. 그렇다면 살아 있다는 것은 무엇인가. 당신은 이순간 살아 있는가.
Things Left Behind / Where did everyone go? The things that are left in the abandoned space do not move. One day a bird flew in and could not get out. This event changed the space. The space came to life. Even though it had been abandoned. Then what is being alive? Are you alive at this moment?
04 2층 끝 방
당신은 이 시간 무엇을 남길 것인가.
What will you leave behind at this time?
05 옥상
당신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Where are you at this moment?
06 제1취수장 셔터문 앞
당신이 지금 보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What are you looking at right now?
07 제1취수장 반입구
순간의 기록/ 같은 순간은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
A Record of Time / The same moment will not exist again.
08 홀
눈물 채집기/ 눈물과 기억을 모은다. 눈물과 기억은 여기 채집되어 정화된다. 정화된 물 속엔 예전의 눈물과 기억은 없다. 새로운 것을 담을 준비만 되어 있다. 당신은 목격자이므로 살아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Collection of Tears / The space collects tears and memories. Tears and memories are gathered here, and they get purified. In the purified water, the tears and memories of the past do not exist. It only gets ready to collect the new. As you witness the brand-new, it is proof that you are alive.
09 2 갈래길
기억은 선택에 의해 삭제되고 남겨진다.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Memories get erased or stored by choice. What choice will you make?
10 천장 밑 공간
당신이 지금 보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What are you looking at right now?
11 벽 뒤 공간
분리와 정화/ 물과 분리된 강가의 모래는 물을 정화하는 데 유용하다. 분리되었을 때 의미가 명확해지는 것들이 있다.
Separation and Purification / The sand on the riverbank that is separated from the water has a useful role in purifying the water. In separation, sometimes, there is clarification.
12 난간이 있는 바깥 공간
당신이 지금 보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영원한 것은 존재하는가.
What are you looking at right now? Does anything last forever?
14 제2취수장 지하 공간
반복되는 시간/ 죽음은 증언해 줄 사람이 없다. 증언이 없어 모르기 때문에 죽음은 공통의 두려움 대상이 된다. 그러나 죽음이 어느 무엇에도 존재한다는 것은 모두 알고 있다. 죽음 앞에 모든 것은 평등하다. 죽음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다.
Repetition of Time / No one can attest to death. Because there is no testimony, death becomes something people fear. But everyone knows that death exists in all things. When facing death, everything is equal. This is why we need to remember that there is death.
15 이동
당신이 지금 보고 있는 것은 과거인가 미래인가 현재인가.
What are you looking at right now, is it the past, the future, or the present?
17 염소 투입실 창고
당신과, 당신과, 당신과, 당신이 매 순간 존재하는 것을 기억하라. 기억할 수 없는 과거가 아닌, 알 수 없는 미래도 아닌, 지금 매 순간 움직이고 변화하는지, 그 살아있는 순간들을 목격하라.
Remember you exist this very moment. Not the past that you cannot remember, not the future you cannot know, but this second, with you moving and changing. Witness the moments of being alive.
18 염소 투입실 셔터문
당신은 여기 지금 남을 것인가 떠날 것인가.
Will you remain here or leave?
00
By Way of the Sound and Video
The sounds that are heard in the space
are mostly of people and things busily moving.
The space is asleep but the memories inside it are alive.
Witnesses take in and listen to the space that is asleep.
The sounds speak for the memories of space and things.
The few things that move are proof that the space is alive.
The bodies that stop are in parallel with the things in the room and carry the properties of material.
The sounds have the feeling of space until they change to different rhythms and constantly connect with other sounds.
This is because memories transform.
The video reflects the memory of the sound and its flow.
The memories and sounds in the space breathe life into the space, and they become proof of being alive for witnesses.
기억하는 사물들 2014 – 문화역서울 284 (구 서울역), 서울
Things that Remember 2014 – Culture Station Seoul 284 (Ex Seoul Station), Seoul
한국의 철도 역사는 경인선에서 시작되었고, 1900년 경인선이 서울 남대문 역까지 진입하게 되었다. 당시 목조 역사가 ‘남대문 정거장’이고 이는 ‘경성역’의 시초였다. 같은 시기에 ‘용산역’은 노량진 역까지만 운행하던 경인선이 한강 이북까지 개통하면서 영업을 시작하였다. 용산역사는 처음에는 3평 반의 판잣집에 불과했지만, 1906년에 2~3층짜리 목조건물로 새로운 역사를 지었다. 하지만 화재로 곧 소실되고 재건축되었다. 이후 1906년 경의선, 1914년 경원선을 기점으로 군수물자 수송 등 막대한 교통량을 담당하던 ‘용산역’은 1923년 포화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3년의 공사를 거쳐 1925년 ‘경성역’이 신축되었고 이후 ‘용산역’의 중요성은 줄어들었다. ‘경성역’은 광복 이후 1947년 현재의 ‘서울역’으로 개명, 2004년 새로운 역사가 신축되면서 구 역사는 폐쇄되었고, 2011년 복원공사를 마치고 ‘문화역서울 284’로 재탄생하였다.
The history of Korean railway began with the launch of the Gyeongin Line. In 1900, the Gyeongin Line was extended to Namdaemun in Seoul. The wooden train station known as Namdaemun Station at that time became the predecessor of Gyeongseong Station. Around the same time, Yongsan Station was opened following the extension of the Gyeongin Line beyond Noryangjin Station into the north of the Han River. Originally, Yongsan Station was merely a shack of less than 10 square meters. In 1906, it was rebuilt into a three-story wooden structure, only to be destroyed by fire and then reconstructed. Afterwards, Yongsan Station was in charge of heavy traffic including transportation of military supplies—with the opening of the Gyeongui Line in 1906 and then the Gyeongwon Line in 1914. By 1923, the station was stretched to the limit. After three years of construction, Gyeongseong Station began operating in 1925, and thus Yongsan Station declined in importance. In 1947, Gyeongseong Station was renamed Seoul Station after the restoration of Korea’s national sovereignty. Then the old station building was closed in 2004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new building. Following extensive restoration work in 2011, it was reopened as Culture Station 284.
세부정보 Details
국가 : 대한민국
도시 : 서울
장소(과거) : 서울역
장소(현재) : 문화역서울 284
공연 날짜 : 2014. 11. 14-30
공연 시간 : 금 17:00 / 토, 일 15:00, 16:00
회차 : 총 13회
공개 리허설 : X
리서치 : 기록 없음
제작 일정 : 기록 없음
회당 관객수 : 10명
장소 내 설치공간 : 16 공간
QR 형태 : X
QR 수 : X
나레이션 수 : 15
설치 사운드 여부 : O
러닝타임 : 27분 31초
참여인원 : 총 29명
Country : South Korea
City : Seoul
Former Venue : Seoul Station
Current Venue : Culture Station Seoul 284
Performance Date : November 14-30, 2014
Performance Time : Friday 17:00 Saturday, Sunday 15:00, 16:00
Number of Performances : 13
Open rehearsal : n/a
Pre-Research : No record
Production Schedule : No record
Number of Audience Per Performance : 10
Installation Spaces at The Venue : 16 Spots
Format of QR : X
Number of QR : X
Number of Narration : 15
Sound Installation : O
Performance Duration : 27 min 31 sec
Number of Participant : Total 29


연출・미술 김경희 프로듀싱 박지선 박희경 사운드 윤제호 촬영 최용석 출연 소경진・이자현・강정아・이혜미・강민지・최성문・양원철・김내영 장치 제작 송기선 장치 도면 최수연 장치 미니어쳐 서은진 오브제(협력) 한국예술종합학교 [Object and Alternative Space] 수강생 13인(김다빈 이민영 리정윤 오현정 김은지 허정인 이재복 정대원 곽도원 박지혜 이원미 김영린 박수연) 제작 창작그룹 노니 제작 협력 우란문화재단 주최 문화역서울 284
나레이션 Narration
0
공연관람 전 안내 말씀 드립니다. 다 함께 QR코드 앱을 다운로드해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사용이 불가하신 분은 wifi_안드로이드핫스팟3566을 사용해주세요. 010XXXXXXXX
나눠드린 헤드폰을 착용하시기 전 몇 가지 안내사항 드립니다. 기본적으로 채널은 맞춰져 있습니다. 테스트하는 시간을 가질 건데, 이때 찰칵 소리가 나지 않으시는 분은 튜닝휠을 살짝씩 돌려 채널을 맞춰주세요. 본 공연엔 높은 계단과 플래시가 터지는 부분이 있으니 유의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당부드리고 싶은 말은 기술적 오류가 나는 부분은 기다려주시면 최대한 신속히 해결할 예정이니 기다려주시고, 양해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자, 다 함께 헤드폰을 착용하겠습니다.
Attention please,
Thank you for coming to our show, before we start, I have some notice to tell.
First, you need to download QR code application to enjoy the show. If you are not available to use the internet, use the wifi androidhotspot3566 / 010XXXXXXXX
Second, there are some notices for the headphones. We tuned the channel already, but it could be moved to other frequency. Please move the tuning wheels very slowly and find the camera sound.
And since we have some high stairs and flash lights in the show, maybe you could have some problems with these. Please be careful with this. Please put on your headphones.
01 3등 대합실 The Third Class Waiting Room at the Train Station
기차역 / 驛
이동을 위해 잠시 정지하는
모든 것들을 위한 쉼터입니다
모두 그렇게 기다림을 지나. 시간을 만납니다
종이 울리고 경적이 울립니다
냉정한 시간은 항상 같은 듯 다른 모습으로 찾아옵니다
멈춰진 기차역, 공간의 기억, 그 흔적들
이곳을 지나쳤던 사람들은 사라져 갔지만
공간과 사물들은 기억을 품고 있습니다
기차는 각기 흩어진 시간과 공간을 연결합니다
흩어진 점들을 연결하는 선 긋기 놀이
기차는 시간 여행자입니다
기다림의 쉼이 왔을 때
공간과 사물들의 기억을 따라
함께 여행을 떠나 보겠습니다
의자에 앉으셔서 공간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Train Station
This is a haven for all those who seek a brief rest
before moving on again.
They all pass through the passage of waiting to meet time.
The bell is ringing and the horn is blowing.
Time, stern and cold, arrives always in the same way,
but yet also different in appearances.
A train station standing still, the lingering memory
of the place and its traces.
Those who were once here in this place are all gone now,
but the place and the objects still remember them.
A train that connects time and space that are separated.
It plays the line-drawing game that connects the points that are scattered around.
A train is a time traveler.
When the respite of waiting comes,
we shall travel together down the memory lane of
the place and the objects.
Please relax in your chair and experience the space.
02 3등 대합실 창 A Window of the Third Class Waiting Room
골조를 드러낸 악기
멈춰버린 나는 살아있는 건지. 아니면 죽어버린 건지
기능하지 않는. 기능하지 못 하는 상태
존재하는 것이란 무엇인가
기능하지 않는 상태의 나는 살아있는 것인가
의자에 앉으셔서 공간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악기를 치셔도 좋습니다.
A Musical Instrument with the Skeleton of Its Frame Exposed
I have stopped. Am I alive?
Or am I dead?
The state of not functioning. The state of being unable to function.
What does it mean to exist?
If I am not functioning, am I alive?
Please relax in your chair and experience the space.
You may even play the instrument.
03 서 측 복도/플랫폼 The West Wing Corridor/Platform
플랫폼 벤치 그리고 1950년
시간은 흔적을 남깁니다
그 흔적은
기다리던 이와
떠난 이를 다시 만나게 해줄까요
이제는 울지 않는 경적 소리
닫혀버린 창
떠나 보내던 그 날부터 지금까지
여전히
여기
이곳에서 기다리고 있습니다
의자에 앉으셔서 공간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뜨개질을 하셔도 좋습니다.
A Platform Bench and 1950
Time leaves traces.
The traces,
will they help unite those who were waiting
and those who have left?
The horn’s not blowing any more.
A window that is closed.
From the day he left to until now, I have been waiting.
Still.
Here.
In this place.
Please relax in your chair and experience the space.
You may even knit, if you like.
04 역장실 A Stationmaster’s Office
타자기 그리고 반복되는 시간
목격한 모든 것을
새기며
기록하고 축적하여
기억합니다
하지만
기록은 목격한 시선에 따라
다르게 기억될 수 있습니다
시선과 기록, 그리고 기억
과연 어떤 것이 옳고 그르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기준은 어디에 있을까요
당신은 알고 있습니까
기억하는 사물들/창작그룹 노니
의자에 앉으셔서 공간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A Typewriter and the Time That Repeats
Everything witnessed is
inscribed,
recorded, and compiled
to be remembered.
However,
records may be remembered differently
from different perspectives.
Perspectives, records, and memory.
What is the criteria
to determine what is right and wrong?
Do you know?
Please relax in your chair and experience the space.
05 귀빈 예비실 VIP Reception Room
고급 소파
이 모든 기억과 공간
그리고 사람들
그저 모든 것은
툭. 하면 쓰러지는
시시한 장난감 놀이일 뿐
의자에 앉으셔서 공간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A Luxury Sofa
All these memories and space.
And people.
Everything is
like boring play-things
that get knocked down easily.
Please relax in your chair and experience the space.
06 사잇문 Through the doors and door
넥타이 부대 그리고 1997년
부딪히고, 부딪히다,
끝내 나아가지 못한 것들
매일매일 진군하라
숨통이 쪼여지도록
더 쪼이고 쪼여라
숨통이 끊어질 때까지
계속 진군하라
그러다 넥타이 부대는
흐드러지게 추락 또 추락
밖으로도 비상할 수 없고
돌아갈 수도 없는
이곳,
추운 전쟁터에 버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전쟁의 승자는 누구입니까
이 전쟁은 누구의 배를 채우기 위한 것입니까
Office worker and the Year of 1997
Attack, and attack again,
but we could not advance to the end.
Keep marching every day.
To strangle their necks.
Strangle it harder.
Until their last breath.
Keep marching.
However, office worker
fell, and fell so in splendor.
They could neither fly outside
Nor return home.
In this place,
they were left abandoned in the cold battle place.
Who was the winner of this war?
Whose stomach was this war being waged to fatten?
07 귀빈 화장실 VIP Restroom
부치지 못한 편지들 그리고 1941년
너무 많은 것이 변해버렸습니다
돌아가지 못하고 쌓인 채
이렇게 남겨져 버렸습니다.
돌아가려는 곳이
그곳일지 그때일지
이제는
정말 모르게 되어버렸습니다
소녀는 배가 부른 여인이 되었고
문밖의 군화는 줄은 선채 쌓여만 갑니다
떠나온 곳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을까요
의자에 앉으셔서 공간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The Unsent Letters and 1941
So many things have changed.
Being unable to return and laid down in a heap,
was left abandoned like this.
Is the place I want to return,
the place and the time of that period?
Now,
I do not really know.
A little girl has grown, and her belly is swollen.
The soldier’s boots outside the door are lining up and keep growing.
Will it be possible for her to return
to where she was from?
Please relax in your chair and experience the space.
08 계단 위 그릴 후문 Grilled Backdoor Gate Above the Stairs
여가수의 분장대 그리고 1926년
마지막 준비의 흔적
그곳에 갈 땐
슬픔을 감추고
화려함을 덧입습니다
한참을 바라보고 앉아만 있던
그녀는
이제 다시 돌아오지 않습니다
노랫소리만이 이곳에 남았습니다
의자에 앉으셔서 공간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A Diva’s Dressing Table and 1926
The traces of the last preparation.
When I go up there,
I hide my sorrows inside
and wear splendid things over it.
She just sits for a long time gazing.
She
will never return now.
Only the sounds of her songs have remained here.
Please relax in your chair and experience the space.
09 2층 쪽방 A Small Room on the 2nd Floor
분실물 함
분실된 기억 찾기
짝이 잃은 한쪽이 오고
비가 그치던 날 우산이 찾아왔습니다
누군가에게 이제는 기억으로도 남지 않았을 그것들
잊혀지는 그것들은 이제 또 어디로 가게 될까요
그들을 찾아주세요.
The Lost and Found box
Finding the Lost Memory
A person who has lost a partner came and
an umbrella came back to me when the rain stopped.
Things that would not even be remembered by anyone,
things that are being forgotten,
where will they go now?
Please find them for me.
10 시계 탑 Clock Tower
모두의 시계 그리고 계속되는 시간
모든 것은 나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되돌아갈 수도 앞지를 수도 없습니다
정확한 속도로 움직입니다
하지만
이 선 위에
똑같은 것은 한 가지도 없습니다
Everyone’s Clock and the Time That Continues
Everything revolves around me.
I can neither go back nor go ahead of it.
I am moving according to precise speed.
However,
on this line,
there is nothing that is the same.
11 복도 끝 창 The Window at the End of the Corridor
공순이의 재봉틀 그리고 1978년
이제는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무엇을 꿈꾸었는지 까맣게 잃어버린 채
되돌아 갈 수도 없이
그저 앞으로만 앞으로만
달리고 달리고 달립니다
스쳐 지나온 청춘의 시간과 그리운 고향은
잘려지고 밟혀 눌려졌지만
달려온 발자국들이
한땀 한땀 기억하고 기록해주겠지요
의자에 앉으셔서 공간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A Factory Girl’s Sewing Machine and 1978
I cannot even remember now.
What was it that I dreamt, I don’t have a clue.
Unable to return,
I race ahead.
I keep racing ahead.
The youth I have left behind and the home I miss were
cut, stamped, and crushed. However,
the footsteps I have left, I hope,
would be recorded and remembered, stitch by stitch.
Please relax in your chair and experience the space.
12 계단 밑 출구 옆 창 The Side Exit Window Below the Stairs
학생들의 여행 가방 그리고 2014년
기억은 선택이 아닙니다
기억은 고스란히 남겨졌다가도
모든 것들처럼 언젠가는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억에서 사라진다는 것은 쓸쓸한 일입니다
나를 잊지 말아주세요
여전히 기다리고 있어요
Student’s Travel Bag and 2014
Memory is not a choice.
Memory, sometimes remaining completely intact,
may someday disappear just like that, like all fleeting things.
Nevertheless,
it is a sad thing to be forgotten.
Forget me not.
I am still waiting for you.
Please relax in your chair and experience the space.
13 중앙홀 쪽방 A Small Room in the Center Hall
청소노동자들의 작업복
이 모든 것을 움직이는 것들의 집
구석 중의 구석 가장 작고 작은 집
흘러내리고 응축된 기억
미관상의 이유로 눈에 띄지 않도록
가장 더러운 곳을 깨끗하게 만드는 일을 하는
내가 쉴 곳은 어디인가
가장 작고 작은 집
구석 중의 구석
나의 쉼터로 마실 오시게나
의자에 앉으셔서 공간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The Working Clothes of a Cleaner
The house of things that moves everything.
The smallest house in the farthest corner.
Memory that trickled down and is condensed.
For aesthetic reasons, in order for it not to show,
I work to make the dirtiest place clean.
Where is the place I can rest?
The smallest of all houses.
The farthest corner of all corners.
Come to my resting place.
Please relax in your chair and experience the space.
14 중앙홀 창 The Window of the Center Hall
여행자의 의자
지금, 여기, 여행
지금.
여기. 에 앉아서
여행. 을 즐기기 바랍니다
여행은
목적지에 도착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지에 도달하는 과정을 즐기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여행을 갈망하지만 말고
지금. 여기. 여행 떠나보면 어떨까요
당신에게 여행은 어떤 것인가요
당신에게 나는 어떤 의미였나요
의자에 앉으셔서 공간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의자 뒤로 너무 기대지 마시기 바랍니다
A Traveler’s Chair
Now, here, travel.
Now.
Sit right here.
And please enjoy your travel.
Travel is not about
arriving at the destination.
What matters is how you enjoy the process of getting there.
Instead of just dreaming about traveling.
Now. Here. Why don’t you start your travel now?
What does travel mean to you?
What did I mean to you?
Please relax in your chair and experience the space.
Be careful not to lean back too far in the ch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