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작업 [여자들]에서는 이전 작업들에 비해 거대 공간의 역사성보다도 기억의 매개로서의 오브제가 가진 힘이 극대화되었는데, 이는 어쩌면 지극히 개인적인 기억에서 도출되는 내밀함이 작업의 중심을 이루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Women] maximizes the power of an object as the medium of memory rather than the history of a grand space. Perhaps this is because the intimacy derived from a very personal memory is at the heart of the work.
여성과 여성은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폭력의 기억, 사라짐의 기억, 억압의 기억, 엄마됨의 기억으로부터 여성이 여성의 살갗을 맞댄 순간으로 다시 돌아온다. How can a woman face another woman? Memories of violence, memories of vanishment, memories of oppression, and memories of being a mother linger back the very moment when a woman encounters another woman.
16일의 방식은 나에게 여행과도 같았다. 마지막 장면은 너무나도 아름다웠다. The format on the 16th was like a trip. The final sequence was absolutely beautiful.
이야기가 다 다르고 오브제도 다르고 경험도 다르기에 똑같을 수가 없다. We had different stories, objects and experiences, and so nobody was the same.
작업자들이 평범한 일상을 예술적으로 변하게 만들어서 매우 놀라웠다. It’s amazing how they turn ordinary life into art. They develop everyday life into a work of art.
나의 퍼포먼스는 여옥수씨를 도와주는 것이었는데 그것은 내 영상에서 내가 어머니의 요리를 도와주는것과 동일한 것이었기 때문에 내가 보여주려던 순간의 연장이었다. My performance was of great help to Yeo Oksoo, and it was an extension of the moment I wanted to show because it was the same as helping my mother cook—as seen in my video.
관객들이 음식이 나왔을 때 우르르 몰려가면서 현실과 비현실? 그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것이 공연 안에 있으면서 재미있었던 것 같다. When food was served, the audience rushed forth,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reality and non-reality, which was fun.
가족이라는 개념이 재미있었다. 모든 사람이 가지는 관념적인 가족이라는 개념이 다 다른 것을 알았다. The concept of family was interesting. I found that everyone had a different concept of an ideological family.
절대적으로 감동적인 경험이었으며 동시에 ‘불안함’을 주었다. 매우 깊은 격렬함과 섬세함을 가진 작품이었다. Things that Remember was a moving, yet disturbing experience bursting with intensity and subtlety.
왜 Esma에서라 말하는가. ‘Ex’에서가 아니라. 이는 왜냐하면 그룹 ‘노니’가 그 시간과 그 공간을 그대로 재현해서, 우리를 다시 그때로 되돌려 살게 했기 때문이다. The reason why I decided to speak of ESMA and not of ex-ESMA is because Creative Group NONI transported us back in time to this specific time and place in history.